본문 바로가기

♧ 문학의 향기/♣ 고사성어166

[천려일실](千慮一失) [천려일실(千慮一失)] [훈 음] <千:일천 천/ 慮:생각할 려/ 一:한 일/ 失:잃을 실> [의 미] (천 가지 생각 가운데 한 가지 실책이란 뜻으로, 지혜로운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다 보면 하나쯤은 실책이 있을 수 있다는 말.) (고사 내용) 한나라 고조의 명에 따라 대군을 이끌고 조(趙)나라로 쳐들어간 .. 2010. 9. 20.
[(고사성어)] [난의포식](暖衣飽食) [난의포식](暖衣飽食) [훈 음] <煖 : 따뜻할 난 / 衣 : 옷 의 / 飽 : 배부를 포 / 食 : 먹을 식> [의미] ( 따뜻한 옷에 음식을 배불리 먹음. 생활에 부자유스러움이 없음을 뜻함.) [고사 내용] 등문공(騰文公)이 맹자에게 신하를 보내 정전법(井田法)에 대해 물었다. 맹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당신의 군주께.. 2010. 9. 17.
(고사성어) [간장막야(干將莫耶)] [간장막야(干將莫耶)] [훈 음] <干:막을 간/ 將:장성할 장/ 莫:깍을 막/ 耶:그런가 야> [의미] ①간장과 막야가 만든 칼로, 천하에 둘도 없는 명검 혹은 보검을 비유한 말. ②명검도 사람의 손이 가야만 빛이 난다. 사람도 교육을 통해 선도해야만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고사 내용] 오(吳)나라에는 유.. 2010. 9. 16.
[(고사성어)] [서시빈목](西施嚬目) [서시빈목(西施嚬目)] [훈 음] <西:서녘 서. 施:베풀 시. 嚬:눈살 찌푸릴 빈. 目:눈 목.> [해석] :서시가 눈살을 찌푸린다는 뜻. 곧 ① 쓸데없이 남의 흉내를 내어 세상의 웃음거리가 됨. ②영문도 모르고 남의 흉내를 냄. ③ 남의 단점을 장점인 줄 알고 본뜸의 비유. [원말] 효빈(效嚬)[效:본받을 효. 嚬:.. 2010. 9. 9.
[(고사성어)] [권토중래](捲土重來) [(권토중래) 捲土重來] [훈 음] <捲: 걷을, 말 권/ 土: 흙 토/ 重:무거울, 거듭할 중/ 來 올 래> [해석] 흙먼지를 말아 일으키며 다시 쳐들어온다는 뜻으로, 한 번 패했다가 세력을 회복해서 다시 쳐들어옴. [고사 내용] 이 말은 당나라 말기의 시인 두목(杜牧 : 803-852)의 詩 '제오강정(題烏江亭)' 에 나오는.. 2010. 9. 8.
[(고사성어)] [구인득인] (救仁得仁) [구인득인 (救仁得仁) [훈음] <救:구원할 구/仁: 어질 인/得:얻을 득/仁:어질 인> [해석] (인을 구하여 인을 얻었다는 말로, 자신이 원하거나 갈망하던 것을 얻었음을 뜻한다) [고사내용] 이 성어는 고죽군의 아들인 백이, 숙제와 연관된 이야기이다. 고죽군은 세상으로 떠나면서 왕위를 형보다는 지도.. 2010. 9. 1.
[(고사성어)] [간어제초](間於齊楚) [간어제초](間於齊楚) [훈 음] 間 사이 간/ 於 어조사,에서 어/ 齊 나라 제/ 楚 나라 초 [의 미] 제나라와 초나라에 사이하다. 약한 사람이 강한 사람의 사이에 끼어 괴로움을 받음. [고사 내용] 전국시대에 강국이었던 제(齊) 나라와 초(楚) 나라 사이에 약한 등 나라가 있었고, 등 나라는 두 나라의 틈바구.. 2010. 9. 1.
[(고사성어)] [공중누각]( 空中樓閣) ◐[공중누각 空中樓閣] ◑ [훈 음] < 空(빌 공) / 中(가운데 중) / 樓(다락 루)/ 閣(다락집 각)> [해석] [공중에 누각을 짓는 것처럼 근거나 토대가 없는 사물을 이르는 말.] ① 내용이 없 는 문장이나 쓸데없는 의론(議論). ② 진실성이나 현실성이 없는 일. ③ 허무하게 사라지는 근거 없는 가공의 사물. [.. 2010. 9. 1.
[(고사성어)] [백두여신](白頭如新) [ 백두여신(白頭如新)] < 白: 흰 백/ 頭: 머리 두/ 如: 같을 여/ 新:새로울 신> 머리가 파뿌리처럼 되기까지 교제하더라도 서로 마음이 안통하면 새로 사귀기 시작한 사람과 같다 추양(鄒陽)은 전한(前漢) 초기의 사람이다. 그는 양(梁)나라에서 무고한 죄로 사형을 선고 받았는데, 옥중에서 양나라의 .. 2010.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