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학의 향기/♣ 고사성어166 [(고사성어)] (지록위마)[指鹿爲馬] [훈 음] (指:가리킬 지 . 鹿:사슴 록 . 爲:할 위 .馬: 말 마) [의 미] 사슴을 가리켜 말[馬]이라고 한다는 뜻> ① 윗사람 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휘두름의 비유. ② 위압적으로 남에게 잘못을 밀어붙여 끝까지 속이려 함의 비유. 사슴(鹿)을 가리켜(指) 말(馬)이라고 함(爲)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력을 .. 2010. 12. 29. [(고사성어)] (역지사지)[易地思之] [훈 음] (易:바꿀 역.쉬울 이.地:땅 지. 思: 생각 사. 之:어조사 지.갈 지) [의 미] 처지를 바꾸어 생각하라는 뜻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판단에 앞서 상대의 입장을 염두에 두라는 의미. 바꿀(易) 땅, 처지(地) 생각할(思) 어조사(之) 처지를 바꾸어서 생각함. 즉 상대방의 처지에서 생각해 봄. 학교폭력은 매.. 2010. 12. 28. [(고사성어)] (토사구팽)[兎死狗烹] [훈 음] [兎: 토끼 토.死: 죽을 사,狗; 개 구, 烹: 삶을 팽] [의 미]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는 삶아 먹힌다는 뜻 . 곧 쓸모가 있을 때는 긴요하게 쓰이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헌신짝처럼 버려진다는 말. 토끼(兎)가 죽으니(死) 사냥개(狗)가 삶아진다(烹) 필요가 없게 되면 죽임을 당하거나 버림을 받게 된다. .. 2010. 12. 27. [(고사성어)] 포토악발(哺吐握髮)] 포토악발(哺吐握髮) [훈 음] (吐(토) 토하다 / 哺(포) 먹다 / 握(악) 움켜쥐다 / 髮(발) 터럭) [의 미] 먹은 것을 토하고 머리터럭을 움켜잡는다는 뜻으로, 주(周)나라의 주공(周公)이 손님이 오면 밥 먹을 땐 밥을 토하고 나오고, 머리감다가는 머리카락을 움켜쥐고 나와 맞이했다는 고사에서 현사를 얻기 .. 2010. 12. 24. [(고사성어)] (칠종칠금) [七縱七擒] [훈 음] (七:일곱 칠.縱:길이 종. 七: 일곱 칠. 擒:사로잡을 금) [의 미] 일곱 번 놓아주었다가 일곱 번 사로잡는다는 뜻으로, 제갈 양(諸葛亮)이 맹획(孟獲)을 七縱七擒했다는 고사에서 마음대로 잡았다가 놓아주었다가 함을 이르는 말. 제갈량의 전술로 일곱 번(七) 놓아 주고(縱) 일곱 번(七) 사로잡는다(.. 2010. 12. 23. [(고사성어)] (양상군자)[梁上君子] [훈 음] (梁:들보 량. 上:위 상. 君:임금,군자 군. 子:아들 ,사람 자] [의 미] 대들보 위의 군자라는 뜻. 곧 ① 집안에 들어온 도둑의 비유. ② 천장 위의 쥐를 달리 일컫는 말. 들보(梁) 위(上)에 있는 군자(君子) 도둑을 미화(美化)한 말, 또는 쥐를 일컬음. 중국 후한 말엽, 진식(陳寔)이란 사람이 태구현(太.. 2010. 12. 17. [(고사성어)] (호접지몽)[胡蝶之夢] [훈 음] (胡:오랑캐 어찌 호. 蝶:나비 접. 之:갈 지(…의). 夢:꿈 몽) [의 미] 나비가 된 꿈이란 뜻. 곧 ① 물아 일체(物我一體)의 경지. 물아의 구별을 잊음의 비유. ② 만물일체(萬物一體)의 심경. ③ 인생의 덧없음의 비유. ④ 꿈. 호랑 나비(胡蝶)가 된(之) 꿈(夢) 물아일체의 경지.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한 .. 2010. 12. 15. [(고사성어)] (무릉도원)[武陵桃源] [훈 음] (武:호반 무, 陵:언덕 릉, 桃:복숭아 도, 源:근원 원) [의 미] 세상과 따로 떨어진 별천지. 이상세계. 이상향. 별천지 무릉(武陵)의 복숭아나무 숲(桃)의 근원(源) 속세가 아닌 아름다운 별천지. 파라다이스. 중국 진(晋)나라 때 무릉(武陵)에 사는 한 어부가 어느 날 배를 타고 고기를 잡으러 갔다. .. 2010. 11. 4. 유용한 주제별 고사성어 ♣유용한 주제별 고사성어 효(孝), 우정(友情), 학문(學問), 부부(夫婦), 교우(交友), 세태(世態), 속담(俗談), 형세(形勢), 미인(美人), 거리(距離) , 희생(犧牲), 향수(鄕愁), 독서( 讀書), 전쟁(戰爭), 소문(所聞), 애정(愛情). 기쁨/슬픔, 무례(無禮), 인재(人才). #.[효(孝) ] 1. 事親以孝(사친이효) : 어버이를 섬.. 2010. 10. 4. 이전 1 2 3 4 5 6 7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