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토중래) 捲土重來]
[훈 음]
[해석]
흙먼지를 말아 일으키며 다시 쳐들어온다는 뜻으로, 한 번 패했다가 세력을 회복해서 다시 쳐들어옴.
[고사 내용] 이 말은 당나라 말기의 시인 두목(杜牧 : 803-852)의 詩 '제오강정(題烏江亭)' 에 나오는 마지막 구절이다. 1. (勝敗兵家不可期) ;승패병가불가기): 승패는 병가도 기약할 수 없으니 :포수인치시남아):수치를 싸고 부끄럼을 참음이 남아로다 3.(江東子弟俊才多) :강동자제준재다):강동의 자제 중에는 준재가 많으니 4.(捲土重來未可知) :권토증래미가지) :'권토중래'는 아직 알 수 없네 오강(烏江 : 安徽省 內 所在)은 초패왕(楚覇王) 항우(項羽 : B.C 232-202)가 스스로 목을 쳐서 자결한 곳이다. 한왕(漢王) 유방(劉邦)과 해하(垓下 : 안휘성 내 소재)에서 펼친 '운명과 흥망을 건 한판 승부[乾坤一擲]'에서 패한 항우는 오강으로 도망가 정장(亭長)으로부터 "강동(江東)으로 돌아가 재기하라."는 권유를 받았다. 그러나 항우는 "8년 전(B.C 209) 강동의 8,000여 자제(子弟)와 함께 떠난 내가 지금 혼자 '무슨 면목으로 강을 건너 강동으로 돌아가[無面渡江東] ' 부형들을 대할 것인가?"라며 파란만장(波瀾萬丈)한 31년의 생애를 마쳤던 것이다. 항우가 죽은 지 1,000여 년이 지난 어느 날, 두목(杜牧)은 오강의 객사(客舍) 에서 일세의 풍운아(風雲兒)―단순하고 격한 성격의 항우, 힘은 산을 뽑고 의기는 세상을 덮는 장사 항우, 사면초가(四面楚歌) 속에서 애인 우미인 (虞美人)과 헤어질 때 보여준 인간적인 매력도 있는 항우―를 생각했다. 그리고 그는 '강동의 부형에 대한 부끄러움을 참으면 강동은 준재가 많은 곳이므로 권토중래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을 텐데도 그렇게 하지 않고 31세의 젊은 나이로 자결한 항우를 애석히 여기며 이 시를 읊었다. 이 시는 항우를 읊은 시 중에 서 가장 잘 알려진 것이다. 왕안석(王安石)은 '강동의 자제는 항우를 위해 권토중래하지 않을 것'이라고 읊었고, 사마천(司馬遷)도 그의 저서 사기(史記)에서 '항우는 힘을 과신했다'고 쓰고 있다. 세력을 잃었던 사람이 세력을 다시 잡음. 사면초가(四面楚歌) [捲 土 重 來 (권토중래)] <捲:말 권 / 土:흙 토 /重:거듭 중 /來: 올 래> 흙을 말아 다시 온다는 뜻으로, 한 번 패한 자가 힘을 길러 흙먼지를 일으키면서 전력을 다해 쳐들어온다는 의미. ▶ 七顚八起 (칠전팔기): 일곱 번 넘어졌다가[顚] 여덟 번째 다시 일어난다.[起] '무겁다'는 의미 생성. '마을 리[里]' 부수는 의미와 관련 없는 분류임. 후에 모양을 빌려 '오다'는 의미를 생성함. '보리'는 별도의 '麥(맥)'자를 만듦. 1-捲 [뜻.음]:(말 권,힘쓸 권) [의미]:(1.말다.2.힘쓰다.3.분발하다.4.주먹) [단어] (1)권권(捲捲):힘쓰는 모양. (2)권수(捲手):주먹 (3)권악(捲握):거머쥠. (4)궝용(捲勇):큰 용기. (5)권토(捲土):뿌옇게 흙 먼지를 일으 킨다는 뜻으로 '기세가 대단함을 이르는 말.
2-土
3-重
4-來
|
'♧ 문학의 향기 >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간장막야(干將莫耶)] (0) | 2010.09.16 |
---|---|
[(고사성어)] [서시빈목](西施嚬目) (0) | 2010.09.09 |
[(고사성어)] [구인득인] (救仁得仁) (0) | 2010.09.01 |
[(고사성어)] [간어제초](間於齊楚) (0) | 2010.09.01 |
[(고사성어)] [공중누각]( 空中樓閣) (0) | 2010.09.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