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음]
<救:구원할 구/仁: 어질 인/得:얻을 득/仁:어질 인>
[해석] (인을 구하여 인을 얻었다는 말로, 자신이 원하거나 갈망하던 것을 얻었음을 뜻한다)
[고사내용] 이 성어는 고죽군의 아들인 백이, 숙제와 연관된 이야기이다. 고죽군은 세상으로 떠나면서 왕위를 형보다는 지도력이 있다고 생각되는 동생 숙제에게 물려준다고 했다. 왕위를 계승해야 된다며 사양했고, 백이는 부친의 유언을 따르는 것이 자식된 자의 도리라며 그대로 궁궐을 나왔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숙제 역시 그 나라를 떠났다. 그러던 어느 날, 백이와 숙제는 약속이나 한 듯이 희창이 노인들을 공경하는 덕있는 사람이라는 소문을 듣고 그를 섬기기 위해 찾아갔다. 그러나 이들 형제가 도착하기 전에 문왕은 죽고 아들 무왕이 그 뒤를 잇고 있었다. 무왕은 선왕의 유언에 따라 상나라 주왕을 토벌하려고 했다. 이 소식을 들은 백이와 숙제는 무왕을 만류하며 말했다. "부친의 장례도 아직 치르지 않았는데 무기를 들고 전쟁을 하는 것은 아들된 자의 도리가 아닙니다. 게다가 지금 토벌하려는 사람은 황제입니다. 황제가 아무리 포학할지라도 모반을 하는 것은 신하된 자의 도리가 아닙니다. 토벌을 멈추시오." 그렇지만 무왕은 자신의 계획을 포기할 수 없었으므로 병사들에게 출정을 명했다. 그러자 백이와 숙제는 그 앞을 가로막았다. 무왕은 노여워하며 이들을 죽이라고 했다. 그때 마침 강태공이 나서 변호를 하여 두 사람은 석방되었다. 무왕은 출전하여 승리를 하였고, 백성들은 포학한 정치로부터 해방되어 기뻐했다. 그렇지만 백이와 숙제는 무왕의 행위를 비판하며 주나라 땅에서 나는 것은 그 무엇도 먹지 않겠다고 결심하고는 수양산으로 들어가 고사리를 캐먹고 살다가 굶어 죽었다. "백이와 숙제는 다른 사람의 나쁜점은 염두에 두지 않고 자신들이 인을 구하려고 하여 인을 얻었으니 무슨 원한이 있겠는가?" |
<더 상세한 설명>
[구인득인(救仁得仁)]
<救: 구원할 구/ 仁: 어질 인/ 得: 얻을 득/ 仁: 어질 인>
( 인을 구하여 인을 얻었다는 말로,
자신이 원하거나 갈망하던 것을 얻었음을 뜻한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었음을 뜻함'을 말 하는데,
은(殷) 나라의 고죽군(孤竹君)은 세상을 떠나면서
왕위를 형인 백이(伯夷)보다도 지도력이 있다고 생각되는
동생 숙제(叔齊)에게 물려준다고 하였다. 그렇지만 숙제는
장남인 형이 왕위를 계승해야 된다며 사양하였고,
백이는 부왕의 유언을 따르는 것이 자식된 자의 도리라며
그대로 궁궐을 나왔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숙제 역시 그 나라를 떠났다.
그러던 어느 날, 백이와 숙제는 약속이나 한 듯이
주(周) 나라의 문왕(文王)이 노인들을 공경하는
덕 있는 사람이라는 소문을 듣고 그를 섬기기 위해 찾아갔다.
그러나 이들 형제가 도착하기 전에 문왕은 죽고
아들 무왕(武王)이 그 뒤를 잇고 있었다.
무왕은 선왕의 유언에 따라 은나라 주왕(紂王)을 토벌하려고 했다.
이 소식을 들은 백이와 숙제는 무왕을 만류하며 말했다.
"부왕의 장례도 아직 치르지 않았는데 무기를 들고
전쟁을 하는 것은 아들된 자의 도리가 아닙니다.
게다가 지금 토벌하려는 사람은 황제입니다.
황제가 아무리 포학할지라도 모반을 하는 것은
신하된 자의 도리가 아닙니다. 토벌을 멈추십시오."
그렇지만 무왕은 자신의 계획을 포기할 수 없었으므로
군사의 출정(出征)을 명했다. 그러자 백이와 숙제는
그 앞을 가로막았다. 무왕은 노하여 이들을 죽이려고 하였다.
그때 마침 강태공(姜太公)이 나서 변호를 하여 두 사람은 석방되었다.
무왕은 출정하여 승리를 하였고, 천하를 통일하여
호경(호京)에 도읍(都邑)을 세웠다. 백성들은 포
학한 정치로부터 해방되어 기뻐하였다. 그렇지만 백이와 숙제는
무왕의 행위를 비판하며 주 나라 땅에서 나는 것은
그 무엇도 먹지 않겠다고 결심하고는 서우양산(首陽山)으로 들어가
고사리를 캐먹고 살다가 굶어 죽었다.
공자는 이들의 행동을 두고,
"백이와 숙제는 자신들이 인을 구하려고 하여
인을 얻었으니(求仁得仁) 무슨 원한이 있겠는가?"
하고 평가하고 있다.
[출전] 사기(史記)
1-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仁
|
|
3-得
|
'♧ 문학의 향기 >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서시빈목](西施嚬目) (0) | 2010.09.09 |
---|---|
[(고사성어)] [권토중래](捲土重來) (0) | 2010.09.08 |
[(고사성어)] [간어제초](間於齊楚) (0) | 2010.09.01 |
[(고사성어)] [공중누각]( 空中樓閣) (0) | 2010.09.01 |
[(고사성어)] [백두여신](白頭如新) (0) | 2010.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