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문학의 향기/♣ 고사성어

[(고사성어)] [공중누각]( 空中樓閣)

by kimeunjoo 2010. 9. 1.

◐[공중누각 空中樓閣] ◑

 

[훈 음]
< 空(빌 공) / 中(가운데 중) / 樓(다락 루)/  閣(다락집 각)>

[해석]

 [공중에 누각을 짓는 것처럼

근거나 토대가 없는 사물을 이르는 말.]
① 내용이 없 는 문장이나 쓸데없는 의론(議論).
② 진실성이나 현실성이 없는 일.
③ 허무하게 사라지는 근거 없는 가공의 사물.

 

[고사 내용]

송(宋)나라의 학자 심괄[沈括:호는 몽계옹(夢溪翁)]이 저술한

일종의 박물지(博物誌)인 《몽계필담(夢溪筆談)》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실려 있다.
등주(登州)는 사면이 바다에 임하여 봄과 여름철에는

저 멀리 하늘가에 성시누대(城市樓臺)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고장 사람들은 이것을 해시(海市)라고 이른다.
[登州四面臨海 春夏時 遙見空際 城市樓臺之狀 土人謂之海市

(동주사면임해 춘하시 요견공제 성시루대지상 토인위지해시)]
훗날 청(淸)나라의 학자 적호(翟灝)는 그의 저서

《통속편(通俗篇)》에서 심괄이 이 글에 대해 이렇게 쓰고 있다.
지금 언행이 허구에 찬 사람을 일컬어 '

공중누각'이라고 말하는 것은 이 일을 인용한 것이다.
[今稱言行虛構者 曰空中樓閣 用此事

(금칭언행허구자 왈공중누각 용차사)]
이처럼 '공중누각'이란 말은 이미 청나라 때부터

쓰여 왔으며, 심괄의 글 가운데 '해시'라는 것은

 '신기루'를 가리키는 말이다.

 

 

<더 상세한 내용>

          [공중누각(空中樓閣)]


           <空:빌 공/ 中:가운데 중/ 樓:다랄 루/ 閣:누각 각>

 
[유사어]

 과대망상(誇大妄想).
[출전]

《夢溪筆談》

 
공중에 떠 있는 누각[蜃氣樓(신기루)]이란 뜻.

① 내용이 없는 문장이나 쓸데없는 의론(議論).

② 진실성이나 현실성이 없는 일.

③ 허무하게 사라지는 근거 없는 가공의 사물.

  


 

송(宋)나라의 학자 심괄[沈括:호는 몽계옹(夢溪翁)]이 저술한

일종의 박물지(博物誌)인 《몽계필담(夢溪筆談)》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실려 있다.
등주(登州)는 사면이 바다에 임하여 봄과 여름철에는

저 멀리 하늘가에 성시누대(城市樓臺)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고장 사람들은 이것을 해시(海市)라고 이른다.
[登州四面臨海 春夏時 遙見空際 城市樓臺之狀 土人謂之海市

(동주사면임해 춘하시 요견공제 성시루대지상 토인위지해시)]
훗날 청(淸)나라의 학자 적호(翟灝)는 그의 저서

《통속편(通俗篇)》에서 심괄이 이 글에 대해 이렇게 쓰고 있다.
지금 언행이 허구에 찬 사람을 일컬어 '

공중누각'이라고 말하는 것은 이 일을 인용한 것이다.
[今稱言行虛構者 曰空中樓閣 用此事

(금칭언행허구자 왈공중누각 용차사)]
이처럼 '공중누각'이란 말은 이미 청나라 때부터

쓰여 왔으며, 심괄의 글 가운데 '해시'라는 것은

 '신기루'를 가리키는 말이다.

 

 

 

 

1-空

 

비다
빌다, 하늘, 공중, 헛되다, 부질없다, 없다, 모자라다, 비게 하다, 구멍, 틈, 여가
  (구멍 혈) , 3
空間(공간) : 아무 것도 없이 비어 있는 칸.
虛空(허공) : 텅 빈 공중
1. 좁은 곳일수록 空間(공간) 활용을 잘하면 넓어 보일 수 있다.
2. 화살은 虛空(허공)을 가르며 멀리 날아갔다.
空理空論(공리공론)
空中樓閣(공중누각)
땅을 파낸[工] 굴[穴]처럼 속이 '비다', '없다'의 뜻이 된 글자. 穴(구멍 혈:뜻 부분)+工(장인 공:음과 뜻 부분).
 2-中

가운데
가운데, 맞다.
  (뚫을 곤) , 3
中央(중앙) : 사방의 중심이 되는 곳.
的中(적중) : 화살이 과녁에 맞음. 목표 추측 등에 딱 들어맞음.
1. 나는 무대의 中央(중앙)으로 천천히 걸어 나갔다.
2. 우리 나라 양궁 선수들의 화살이 표적에 的中(적중)했다.
어떤 것을 하나의 선으로 꿰뚫어 '가운데'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임. 또는 마을의 깃발이 가운데 있다는 데서 '가운데'의 뜻이 되었다고도 함. 지사

3-樓

다락
다락, 누각, 다락집
  (나무 목) , 11
樓閣(누각) : 사방을 바라볼 수 있게 지은 다락집.
望樓(망루) : 적의 동태를 살피는 다락집.
1. 대동강가에는 많은 아름다운 樓閣(누각)이 남아 있다.
2. 옛날의 성에는 적을 감시하는 望樓(망루)가 여러 곳 있습니다.
木(나무 목: 뜻에 관련되는 부분)+ 婁(밑에 끌 루: 음에 관련되는 부분). 머리를 틀어 올려 장식한 여인의 머리 모양[婁]처럼 높은 곳에 나무로 만든 집. 형성.
4-閣

 

집, 누각, 다락집, 선반
, 6
閣議(각의) : 내각의 회의.
樓閣(누각) : 높은 다락집.
1. 중요정책은 국무회의의 閣議(각의)를 거쳐 결정된다.
2. 호수 옆 樓閣(누각)에 오르니 바람이 시원하다.
여러 사람[各]이 찾아드는 '큰 문[門]이 달린 집', 또는 '누각'을 뜻함. 門 안에 各(각각 각 : 음과 관련되는 부분)을 합한 글자. 형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