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문학의 향기/♣ 고사성어166

[(고사성어)] (당동벌이)[黨同伐異] 당동벌이(黨同伐異) [훈 음] < 黨:무리 당. 同:한가지 동. 伐:칠 벌. 異:다를 이> [의 미] 무조건 같은 파의 사람은 편들고, 다른 파의 사람을 배격함. 즉, 의견이 같으면 편당(偏黨)하고 다르면 친다는 뜻으로, (의견이 같은 사람끼리는 돕고 의견이 다른 사람은 배척한다는 의미.) [고사 내용] 후한(後.. 2011. 1. 12.
(백두여신)[ 白 頭 如 新] [백두여신](白頭如新) [훈음] < 白: 흰 백. 頭: 머리 두. 如: 같을 여. 新:새로울 신> [의미] 머리가 파뿌리처럼 되기까지 교제하더라도 서로 마음이 안통하면 새로 사귀기 시작한 사람과 같다. 즉,<마음이 맞지 않은 이는 늙도록 교제하여도 새 우인(友人)과 같이 교정(交情)이 두텁지 못함.> 1-白 [.. 2011. 1. 10.
[(고사성어)] (태산북두)[ 泰 山 北 斗] [태산북두( 泰山北斗)] [훈 음] (泰: 클 태. 山: 메 산. 北: 북녘 북. 斗: 말, 별자리 두) [의 미] (태산과 북두칠성. 사람들이 우러러 존경할 만한 뛰어난 인물.) [고사 내용] 1) 당(唐)나라 때 4대 시인(四大詩人)의 한 사람으로서 당송팔대가 (唐宋八大家) 중 굴지의 명문 장가로 꼽혔던 한유(韓愈 : 字는 退之).. 2011. 1. 8.
[(고사성어)] (초미지급)[ 焦 眉 之急] (초미지급)[ 焦 眉 之急] [훈 음] <焦: 태울 초. 眉: 눈썹 미. 之: 어조사 지.急 급할 급.> [의 미] 눈썹에 불이 붙은 급한 상태. 아주 화급한 상태. 눈썹이 타게 될 만큼 위급한 상태란 뜻으로, 그대로 방치할 수 없는 매우 다급한 일이나 경우를 비유한 말이다. [고사 내용] 불혜선사(佛慧禪師)는 고승이.. 2011. 1. 6.
[(고사성어)] (간담상조)[ 肝 膽 相 照] 간담상조(肝膽相照) [훈 음] (肝:간 간. 膽:쓸개 담. 相:서로 상. 照:비칠 조) [의 미] <서로 속마음을 터놓고 진심으로 사귐. 간과 쓸개가 가까이 서로 잘보여 주듯이 서로 마음을 터놓고 사귐.> 즉,간과 쓸개를 서로 비춤. 서로의 마음을 터놓고 친하게 지내는 사이를 비유함. [ 友情(우정) ] [고사 내용.. 2011. 1. 5.
[(고사성어)] (삼고초려)[三顧草廬] [삼고초려( 三顧草廬)] [훈 음] [三 :석 삼.顧; 돌아볼 고.草: 풀 초.廬: 풀집 려] [의미] <중국 삼국시대에 유비가 제갈량의 초려(草廬)를 세 번이나 찾아서 마침내 그를 군사(軍師)로 삼은 일. 초가집을 세 번 찾아간다는 뜻> ① 사람을 맞이함에 있어 진심으로 예를 다함[三顧之禮] ② 윗사람으로부터 .. 2011. 1. 3.
[(고사성어)] (교토삼굴)[狡兎三窟] ◐ 교토삼굴(狡兎三窟) ◑ [훈 음] (狡:교활할 교. 兎:토끼 토. 三:석 삼. 窟:굴 굴) [의 미] 교활한 토끼는 숨을 굴을 3개 판다는 뜻, 교묘하게 잘 숨는 사람의 비유. 슬기로운 토끼가 살아 남을 수 있는 것은 숨을 굴을 셋이나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사람이 난관을 극복하는데 있어서 교묘한 재주를 가.. 2011. 1. 1.
[(고사성어)] (남귤북지)[南橘北枳] ◐남귤북지 (南橘北枳)◑ [훈 음] (南;남녘 남, 橘:귤나무 귤, 北:북녘 북, 枳:탱자 지) [의 미] '강남의 귤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로 변한다'는 뜻 으로, 사람은 환경에 따라 악하게도 되고 착하게도 된다는말. [고사 내용] 춘추시대 말기, 제(齊)나라에 안영(晏?)이란 유명한 재상이 있었다. 어느 해, 초.. 2010. 12. 31.
[(고사성어)] (읍참마속)[泣斬馬謖] [훈 음] <泣: 울 읍. 斬: 벨 참. 馬: 말 마. 謖: 일어날 속> [의 미] '울면서 마속을 벤다'는 뜻으로 '법의 공정을 지키기 위해 사사로운 정을 버림'을 비유. 눈물(泣)을 흘리면서 마속(馬謖)을 베다(斬) 기강을 바로 잡기 위해 사랑하는 신하를 법에 의해 처벌함. 제갈량(諸葛亮)은 군대를 거느리고 사마.. 2010. 12.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