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문학의 향기/♣ 고사성어

[천려일실](千慮一失)

by kimeunjoo 2010. 9. 20.
 

[천려일실(千慮一失)]

 

[훈 음] 

<千:일천 천/ :생각할 려/ :한 일/ :잃을 실>

 

[의 미] 

(천 가지 생각 가운데 한 가지 실책이란 뜻으로,

지혜로운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다 보면

하나쯤은 실책이 있을 수 있다는 말.)

 

 (고사 내용)

한나라 고조의 명에 따라 대군을 이끌고

()나라로 쳐들어간 한신(韓信)은 결전을 앞두고

 '적장 이좌거(李左車)를 사로잡는 장병에게는

천금을 주겠다'고 공언했다. 지덕(知德)을 겸비한

그를 살리고 싶었기 때문이다. 결전 결과 조나라는 괴멸했고,

이좌거는 포로가 되어 한신 앞에 끌려 나왔다.

한신은 손수 포박을 풀어 준 뒤 상석에 앉히고

주연을 베풀어 위로했다.

그리고 한나라의 천하 통일에 마지막 걸림돌로

남아 있는 연()()에 대한 공략책을 물었다.

그러나 이좌거는 '패한 장수는 병법을 논하지 않는 법

[敗軍將 兵不語]'이라며 입을 굳게 다물었다.

 한신이 재삼 정중히 청하자 그는 이렇게 말했다.

"패장이 듣기로는 '지혜로운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다 보면 반드시 하나쯤은 실책이 있다

[智者千慮 必有一得]고 했습니다.

그러니, 패장의 생각 가운데 하나라도

득책이 있으면 이만 다행이 없을까 합니다."

그 후 이좌거는 한신의 참모가 되어 크게 공헌했다고 한다.
싸우면 반드시 이기고, 공격하면 반드시 쟁취했던 한신도

후에 고조의 황후인 여후의 꾐에 빠져, 결국 모반을 이유로

 허무하게 죽고 말았다. 이것도 지혜로운 자의

천려일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원말] 지자천려 필유일실(智者千慮必有一失)

[반의어] 천려일득(千廬一得).

[
출전]《史記》〈淮陰侯列傳〉                        

 

 

<더 상세한 내용> 

[천려일실(千慮一失)]

<千:일천 천/ 慮:생각할 려/  一:한 일/  失:잃을 실>


[원말]

 지자천려 필유일실(智者千慮必有一失).


[동의어]

 지자일실(智者一失).

 

[반의어]

천려일득(千廬一得).


[참조]

 배수지진(背水之陣).

 

[출전]

《史記》〈淮陰侯列傳

 

 

[의미】

천 번의 생각에 한 번의 실수라는 뜻으로,

 아무리 지혜로운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 속에는 간혹 실책(失策)도 있다는 의미.

【반의어】

 千慮一得 (천려일득)

【字意】
◎ 千(천) 사람[人]에 하나[一]를

그어 많다는 ‘일천’의 의미 생성.
◎ 慮(려) 이리저리 헤아려 ‘생각하다’는 의미.
◎ 失(실) 떨어뜨리거나 놓쳐 잃는다는 의미.

‘손해본다[반대는 得(득)]’는 의미 파생.

1-千

일천
일 천, 많다.
  (열 십) , 1
千里(천리) : 일천 리.
千秋(천추) : 오랜 세월. 먼 세월.
1. 千里(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
2. 할머니는 아들과 전쟁 때 헤어진 것이 千秋(천추)의 한이 된다고 하신다.
千里眼 (천리안)
千軍萬馬(천군만마)
千慮一失(천려일실)
千萬多幸(천만다행)
(사람 인:음에 관련되는 부분으로 음이 달라짐) + 一(한 일:뜻에 관련되는 부분). 한[一] 사람[ ]으로 '1,000'의 뜻을 나타내던 글자. 고대 중국에서 엄지손가락은 '100'을, 자기 몸을 가리켜서는 '1,000'을 나타냄. 형성

2-慮

생각
생각하다, 염려하다.
  (마음 심) , 11
考慮(고려) : 생각하여 봄.
心慮(심려) : 마음속의 근심.
1. 너의 제안을 한 번 더 考慮(고려)해보고 결정하겠다.
2. 그 동안 心慮(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합니다.
(호피무늬 호: 음에 관련되는 부분) + 思(생각 사: 뜻에 관련되는 부분). 형성

3-一

하나, 일등, 제일, 온통, 조금, 모두, 첫째
  (한 일) , 0
一等(일등) : 첫째 등급, 또는 일등급.
第一(제일) : 첫째.
1. 나는 이번 시험에서 一等(일등)을 할 각오로 공부한다.
2. 이 CD는 내가 第一(제일) 아끼는 것이다.
一字千金(일자천금)
一擧兩得(일거양득)
一口二言(일구이언)
一怒一老(일노일로)
一網打盡(일망타진)
一問一答(일문일답)
一石二鳥(일석이조)
一魚濁水(일어탁수)
一言半句(일언반구)
一言之下(일언지하)
一字無識(일자무식)
一長一短(일장일단)
一場春夢(일장춘몽)
一朝一夕(일조일석)
一片丹心(일편단심)
손가락 하나, 혹은 가로 그은 한 획으로써 '하나'라는 뜻을 나타냄. 지사

4-失

잃을
잃다, 잘못하다, 놓치다, 달아나다, 잘못, 착오
  (큰 대) , 2
失手(실수) : 잘못.
失望(실망) : 희망을 잃음.
1. 똑같은 失手(실수)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2. 친구가 失望(실망)하지 않도록 약속을 지켰다.
失은 손에서 물건이 떨어져 나가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 '잃는다'의 뜻으로 쓰이고 무엇을 잃는 것은 잘못함을 말하므로 '잘못하다'의 뜻으로도 쓰임. 형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