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문학의 향기/♣ 고사성어

[(고사성어)] (호접지몽)[胡蝶之夢]

by kimeunjoo 2010. 12. 15.

 

 

 

[훈 음]

 

(:오랑캐 어찌 호. :나비 접. :갈 지(…의). :꿈 몽)

 

[의 미]

 

 

나비가 된 꿈이란 뜻.

 곧 ① 물아 일체(物我一體)의 경지. 물아의 구별을 잊음의 비유. ② 만물일체(萬物一體)의 심경. ③ 인생의 덧없음의 비유. ④ 꿈.

호랑 나비(蝶)가 된()()
물아일체의 경지.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한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사상가인 장자(莊子)는 맹자와 같은 시대의 인물로서 무위자연(無爲自然:자연에 맡겨 부질없는 행위를 하지 않음)을 제창한 사람이다. 장자는 어느 날 나비가 되어 꽃과 꽃 사이를 훨훨 날아다니는 꿈을 꾸었다. 깜짝 놀라 깨어보니 그것은 꿈이었다. 장주는 꿈속에서 경험한 일을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내가 꿈속에서 나비가 된 것인지. 아니면 원래 나는 나비였는데, 그 나비인 내가 꿈속에서 장주(莊周)가 된 것인지, 도무지 납득이 가지 않았다.

[]

'호접지몽(胡蝶之夢)'은 요즈음에도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하는 말'로 흔히 쓰이고 있음.
[유현]

사물(事物)의 이치(理致)

또는 아취(雅趣)가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깊음.

[유사어]

장주지몽(莊周之夢

[출전]

莊子》<齊物篇

 

 

1-

오랑캐
오랑캐, 어찌
  (고기 육) , 5
胡桃(호도) : 호두나무의 열매.
胡笛(호적) : 악기 이름. 날라리.
1. 천안은 胡桃(호도)가 많이 생산된다.
2. 어디선가 胡笛(호적) 소리가 들린다.
胡蝶之夢(호접지몽)
古(옛 고:음에 관련되는 부분으로 음이 변함) + 肉(고기 육:음에 관련되는 부분). 형성

2-

 

나비
나비
  (벌레 충) , 9
蝶泳(접영) : 수영 방법의 한 가지.
胡蝶夢(호접몽) : 장자가 꿈에 나비가 되었다는 꿈.
1. 올림픽 수영경기 蝶泳(접영) 200m에서 세계 신기록이 수립되었다.
2. 장자는 꿈에 나비가 되는 胡蝶夢(호접몽)을 꾸게 되었다.
(벌레 충:뜻에 관련되는 부분) + (네모진 나무 엽:음에 관련되는 부분). 나비를 하나의 벌레[ ]로 보고 만든 글자. 형성


3-

 

 

 

가다, 그것, ~의(어조사)
  (삐칠 별) , 3
人之常情(인지상정) : 사람이면 누구나 가지는 보통 인정.
漁父之利(어부지리) : 힘들이지 않고 제3자가 이익을 취함.
1. 불쌍한 사람을 보면 측은한 마음이 드는 것은 人之常情(인지상정)이다.
2. 그는 경쟁자가 다른 곳으로 가는 바람에 漁父之利(어부지리)로 회사에 취직한 셈이다.
풀의 싹이 땅 위로 뻗어 나가는 것을 가리켜 '가다'의 뜻이 된 글자임. 지사


4-

 

꿈, 꿈꾸다.
  (저녁 석) , 11
夢想(몽상) : 실현성이 없는 헛된 생각.  꿈속의 생각.
解夢(해몽) : 꿈의 길흉을 판단함.
1. 그의 생각은 온통 夢想(몽상)뿐이야. 실현성이 전혀 없어.
2. 꿈보다 解夢(해몽)이 더 좋구나.
눈어두울 몽( 의 획줄임) 밑에 目자 대신 夕(저녁 석)을 붙인 글자로, 보지 못하는 맹인이 마음속에서 상상하는 것처럼 저녁에 잠 속에서 꾸는 '꿈'을 뜻함. 회의·형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