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학의 향기/♣ 고사성어166 [삼고초려](三顧草廬) - 고사성어 (훈 음) (三):석 삼. (顧):돌아볼 고. (草):풀 초. (廬):초막 려. 유비가 제갈공명을 오두막(草廬)으로 세(三)번이나 찾아감(顧) 임금의 두터운 사랑을 입음, 또는 필요한 사람을 정성스럽게 찾아가는 기본적인 법도. (다른 뜻) 초가집을 세 번 찾아간다는 뜻. 곧 ①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해 진심으로 예를 다.. 2010. 1. 14. [조령모개](朝令暮改) - 고사성어 [조령모개](朝令暮改)(改過遷善)--> (훈 음) (朝):아침 조, (令)하여금 령/명령할 령, (暮): 저물 모, (改):고칠 개 (속 뜻) 1.아침에 내린 명령을 저녁에 다시 고쳐 내린다. 2.곧 법령이나 명령을 자주 바꾸는 것을 빗댄 말 [출전]<漢書> 2010. 1. 13. [난상가란](卵上加卵) - 고사성어 [훈 음] (卵):알 란,(上):윗 상, (加):더할 가,(卵):일 란 알(卵) 위(上)에 알(卵)을 더한다(加) 정성이 지극하면 하고자 하는 일이 이루어 짐. 한 벼슬아치가 귀양을 가게 되었다. 그는 아내에게 "살아 돌아올 것같지가 않구려. 혹시 알 위에 알을 포갤 수 있다면 몰라도."라고 하였다. 이 말을 들은 아내는 그 .. 2010. 1. 12. [고복격양](鼓腹擊壤) - 고사성어 [훈 음] (鼓): 두드릴 고/북 고,(腹): 배 복, (擊): 칠 격, (壤 ):흙덩이 양 배(腹)를 두드리고(鼓), 땅(壤)을 친다(擊) 매우 살기 좋은 시절을 일컬음. [동] 堯舜之節(요순지절): 요임금과 순임금이 다스리던 시대. 太平聖代(태평성대): 어진 임금이 다스리는 살기 좋은 시대.[다른 뜻] 배를 두드리고 발을 구르.. 2010. 1. 11. [동병상련](同病相憐) - 고사성어 [동병상련](同病相憐)(改過遷善)--> [훈 음] (同): 한가지 동. (病): 앓을 병. (相): 서로 상. (憐): 불쌍히 여길 련 [속 뜻] ① 같은 병의 환자끼리 서로 가엾게 여김. ② 어려운 사람끼리 동정하고 도움. [동의어] [兩寡分悲](양과분비) : 두 과부가 슬픔을 함께 나눈다. [유의어] [虎死兎泣](호사토읍) : 여우가 .. 2010. 1. 11. [계명구도]( 鷄鳴狗盜) - 고사성어 [훈 음] (鷄): 닭 계, (鳴): 울 명, (狗): 개 구, (盜): 도둑 도 닭(鷄)의 울음소리(鳴)를 잘 내는 사람과 개(狗)도둑(盜)을 이용하여 위기를 모면함 군자답지 못한 꾀로 남을 속이는 천박한 짓을 이름. [다른 뜻] 닭의 울음 소리를 잘 내는 사람과 개 흉내를 잘 내는 좀도둑이라는 뜻. ① 선비가 배워서는 안 될 .. 2010. 1. 11. [관포지교](管鮑之交) - 고사성어 [음 훈] (管):대롱 관. (鮑):절인 고기 포. (之):갈 지( 의). (交):사귈 교. 관중(管)과 포숙아(鮑)의(之) 사귐(交) 매우 친한 사이의 사귐을 이름. 다른 뜻: 관중(管仲)과 포숙아(鮑淑牙) 사이와 같은 사귐이란 뜻으로, 즉,시세(時勢)를 떠나 친구를 위하는 두터운 우정을 일컫는 말. 중국 춘추 시대 때 제(濟)나.. 2010. 1. 5. [실사구시](實事求是) - 고사성어 실사구시(實事求是)(改過遷善)--> 훈 음: 실제 실:(實) 일 사:(事) 구할 구:(求) 옳을( 시:是) 겉 뜻: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속 뜻: 일을 사실적으로 살펴 진리를 구한다는 뜻으로, 사실에 토대를 두고 진리나 진상(眞相)을 탐구하는 일인데, 공론을 배격하고 실학을 존중한 청나라의 고증.. 2010. 1. 3. [수주대토](守株待兎) - 고사성어 훈 음: (守):지킬 수,(株):그루 주, (待):기다릴 대, (兎):토끼 토 그루터기(株)를 지켜(守) 토끼(兎)를 기다림(待) 고지식하고 융통성이 없어 구습과 전례만 고집함. 또는 시대 변화에 둔감함. 다른 뜻: 1.나무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림의 뜻으로, 2. 노력하지 않고 득을 보려 하지 말라는 비유. 3.융통.. 2010. 1. 1.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