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학의 향기/♣ 고사성어166 한자 교본 자료 모음 ♣ 한자교본 자료 모음 ♣ ★아래 제목을 클릭! 천자문(千字文) 사자소학(四字小學) 명심보감(明心寶鑑) 추구(推句) 중학교 900字, 고등학교 900字 알기 쉬운 시사한자(時事漢字) 인명용(人名用) 한자표 잘못 읽기 쉬운 한자 한자성어·고사성어 기초 時事·常用한자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 2009. 12. 31. [문전성시](門前成市) - 고사성어 [문전성시](門前成市)(改過遷善)--> 훈 음: (門 ):문 문.(前): 앞 전. (成): 이룰 성. (市): 저자, 도시, 시가 시. 속뜻: 문 앞이 저자를 이룬다는 뜻으로, 권세가나 부잣집 문 앞이 방문객으로 저자를 이루다시피 즉, 붐빈다는 말. [동의어] 門前若市(문전약시) : 문 앞이 시장과 같다. 門庭若市(문정약시) : 집안.. 2009. 12. 30. [백면서생](白面書生) - 고사성어 [백면서생](白面書生)(改過遷善)--> 훈 음: (白):흰 백. (面):얼굴 면. (書):글 서. (生):날 생. 속뜻: 밖에 나가지 않아 하얀(白) 얼굴(面)에 오로지 글(書)만 읽는 사람(生) 다른뜻: 오로지 글만 읽고 세상 일에 경험이 없는 젊은이를 이르는 말. [동의어] [白面郞](백면랑). [白面書郞](백면서랑). [출전]《宋書 .. 2009. 12. 28. [삼고초려](三顧草廬) - 고사성어 훈 음: (三):석 삼. (顧):돌아볼 고. (草):풀 초. (廬):초막 려. 유비가 제갈공명을 오두막(草廬)으로 세(三)번이나 찾아감(顧) 임금의 두터운 사랑을 입음, 또는 필요한 사람을 정성스럽게 찾아가는 기본적인 법도. 다른 뜻: 초가집을 세 번 찾아간다는 뜻. 곧 ①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해 진심으로 예를 다함.. 2009. 12. 28. [반식재상](伴食宰相) - 고사성어 먹을 것(食)과 짝(伴)이 되는 재상(宰相) 훈 음: (伴) 짝 반.(食) 밥 먹을 식, (宰):재상재.(相):서로상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무능한 대신을 비꼬는 말. 다른뜻: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무능한 재상을 비꼬아 이르는 말. 중국 唐나라 현종(玄宗)은 양귀비(楊貴妃)를 총애하다가 나라를 망친 황제로 유명하다. .. 2009. 12. 25. [지어지앙](池魚之殃) - 고사성어 연못(池)속 물고기(魚)의(之) 재앙(殃) 훈 음: (池): 못 지. (魚): 고기 어. (之): 갈 지(…의). (殃): 재앙 앙. 다른 뜻 연못 속 물고기의 재앙이란 뜻. 곧 ① 화(禍)가 엉뚱한 곳에 미침. ② 상관 없는 일의 재난에 휩쓸려 듦의 비유. 언걸 먹음. 중국 춘추 시대 송(宋)나라에 환퇴라는 사람이 천하에 진귀한 보.. 2009. 12. 25. [마부작침](磨斧作針) - 고사성어 (마부작침)(磨斧作針) 도끼(斧)를 갈아(磨) 바늘(針)을 만듦(作) 훈 음: (磨):갈 마. (斧):도끼 부. (作):지을작. (針):바늘 침. 꾸준히 노력함. 다른뜻: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 곧, ①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참고 계속하면 언젠가는 반드시 성공함의 비유. ② 노력을 거듭해서 목적을 달성함의 .. 2009. 12. 19. [중구난방](衆口難防) - 고사성어 [중구난방](衆口難防)(改過遷善)--> [훈 음] (衆): 무리 중, (口): 입 구, (難): 어려울 난, (防): 막을 방. [속 뜻]:여러 사람의 말을 다 막기가 어렵다는 말로 즉, 많은 사람이 마구 떠들어대는 소리는 감당하기 어려우니 행동을 조심해야 한다는 뜻 [출전] [十八史略](십팔사략) 2009. 12. 19. [도로무익](徒勞無益) - 고사성어 헛되이(徒) 수고(勞)만 하고 보람(益)이 없음(無) 훈 음 徒:(헛될, 무리 도) ,勞:(힘쓸, 일할 노), 無:(없을 무),益:(더할익) 헛수고를 일컫는 말. 즉, 헛되이 수고만 하고 보람이 없다. 옛날 젊은 중이 한 고을로 동냥을 갔다. 그는 고을의 아름다운 처녀를 보고 그만 상사병에 걸리고 말았다. 중은 번민 끝에 .. 2009. 12. 18.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