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문학의 향기/♣ 시인뜨락

시골의 밤村夜 - 허난설헌

by kimeunjoo 2011. 1. 6.

 
 

국악 젓대소리는 참 좋은 곳 입니다.

 

 

 

  
        시골의 밤村夜
            허난설헌 허난설헌 상초창창충절절霜草蒼蒼蟲切切 서리 맞은 풀 푸르고 풀벌레 울음 애절한데 촌남촌북행인절村南村北行人絶 시골 마을 어디에도 오가는 사람 하나 없다 독출문전망야전獨出門前望野田 홀로 문 앞에 나가 너른 들의 밭을 바라보니 월명교맥화여설月明簥麥花如雪 밝은 달 아래 핀 메밀꽃이 눈처럼 하얗구나
                  漢詩란 개요 좁은 의미에서는 한대(漢代)의 시를 일컫는 말이지만, 중국 및 주변의 한자문화권에서 한자로 쓴 시를 포함한다. 분류와 형식 한시의 분류기준은 자수(字數)·구수(句數)·압운·운자(韻字)·위치 등이다. 자수는 5언·7언이 대부분이며 4언·6언도 있다. 구수는 4구·8구가 대부분인데, 일반적으로 4구는 절구(絶句), 8구는 율시(律詩)라고 한다. 압운에서 운자는 대부분 구말(句末)에 둔다. 그러나 고대시 가운데는 구수·구중에 압운하는 경우도 있으며, 장시에서는 도중에 운을 바꾸기도 한다. 한시는 그 성격상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 고시 일반적으로는 근체시 성립 이전, 즉 태고의 가요에서부터 위진 남북조의 악부 가행(歌行)을 가리키지만, 근체시 성립 이후에 이루어진 시 중 근체시 규격에 부합되지 않는 시를 가리키기도 한다. 근체시에 비해 구법(句法)과 연의 구성 및 구수에서 비교적 자유로우며, 5언·7언이 주가 되나 4언·6언도 있다. 압운은 존재하지만 엄격한 규칙이 있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인 것이 오언고시와 칠언고시이다. ■ 악부 악부는 악가를 관장하던 관청의 명칭으로서, 여기에서 채집·보존한 악장(樂章)이나 가사(歌辭) 또는 그 모작(模作)을 통들어 악부시라고 한다. ■ 근체시(近體詩) 고체시에 대한 새로운 형식의 시로서, 당대(唐代)에 그 형식이 완성되었다. 기승전결의 구법이 있으며, 연의 구성과 대구의 구속이 있고 구수의 규정이 있다. 율시·배율(排律)·절구의 3종류가 있는데, 각각 5언·7언의 구별이 있다. ① 율시는 1편이 4운 8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2구절을 묶어 1련이라고 하고 수련(首聯)·함련(頷聯)·경련(頸聯)·미련(尾聯)으로 구성되며, 이때 함련과 경련은 반드시 대어(對語)를 써서 연구(聯句)를 이루어야 한다. 오언율시에는 제2·4·6·8구에 압운이 붙고, 칠언율시에는 제1·2·4·6·8구에 각운(脚韻)이 붙는다. ② 배율은 한 편이 6련 12구로 구성되며 한 구는 5언이 정격이나 7언도 있다. 평측과 압운은 율시와 비슷하지만 6련을 모두 대어연구(對語聯句)로 한다. ③ 절구는 기승전결의 4구로 이루어지며 1·2구는 산(散), 3·4구는 대(對)가 된다. 오언절구에는 제2·4구의 끝에, 칠언절구는 제1·2·4구의 끝에 압운을 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