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문학의 향기/♣ 고사성어

(고사성어) [간장막야(干將莫耶)]

by kimeunjoo 2010. 9. 16.
[간장막야(干將莫耶)]

 

[훈 음]

 

 <:막을 간/ 將:장성할 장/ 莫:깍을 막/ 耶:그런가 야>

 

[의미]

 ①간장과 막야가 만든 칼로,

 천하에 둘도 없는 명검 혹은 보검을 비유한 말.

명검도 사람의 손이 가야만 빛이 난다.

사람도 교육을 통해 선도해야만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고사 내용]

오(吳)나라에는 유명한 대장장이 간장(干將)이 그의 아내 막야(莫耶)와

성실하게 살고 있었다.

그 당시 오나라 왕으로 있던 합려는 간장을 불러 명검

 두 자루를 만들도록 명령했다.

 간장은 이 나라에서 제일가는 대장장이라는 공식 인정을 받아

 기뻐 주조하기 시작했는데,

 이 청동이 3년이 지나도 녹지 않는 것이었다. 왕의 독촉은 매일매일 계속되고,

청동은 녹을 기미조차 보이지 않았으므로 그의 걱정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그는 어떻게 하면 이 청동을 하루 속히 녹여 칼을 만들 수 있을까 하는 걱정으로

 뜬눈으로 밤을 새우는 날이 허다했다. 그러던 중

그의 아내 막야가 청동을 녹일 방법을 알아냈다.

그것은 부부의 머리카락과 손톱을 잘라 용광로에 넣고

 소녀 3백 명이 풀무 질을 하는 것이었다.

막야의 말대로 하자 과연 청동은 서서히 녹기 시작 했다.

그래서 칼도 명검으로써 손색이 없을 만큼 제 형태를 드러내기 시작 했다.

간장은 칼이 완성되자, 한 자루에는 막야라는 이름을 새겼고,

또 다른 한 자루에는 간장이라고 새겼다.

이 칼은 그 어느 칼보다 단단하고 예리했으므로 높이 평가 받게 되었고,

 이로부터 '간장막야(干將莫耶)'라는 말로써 명검을 나타내게 된 것이다. 

《순자(荀子)》<성악편>에는 중국 역대의 명검에 끼워 이렇게 말하고 있다. 
"제나라 환공의 총(蔥),강태공(姜泰公)의 궐(闕) 주문왕의 녹,

초장왕의 홀, 오왕 합려의 간장과 막야, 거궐과 벽려는 모두 옛날의 명검이다.

그러나 명검일지라도 숫돌에 갈지 않는다면 보통의 무딘 칼일 뿐이다.

그러므로 그 명검도 사람의 노력이 없으면 자를 수 없다. 이렇듯 순자 역시

'간장막야'를 고대 명검의 하나로 손꼽고 있다.

 어떤 일 이든지 최선의 노력을 하면서 공을 들여야만

일이 제대로 성취될 수 있다는 교훈을 일깨워 준다.

[출전]《吳越春秋》《荀子》의 <性惡篇>

 

<더 상세한 내용>

 

 

[干 將 莫 耶(간장막야)]

 

<干:방패 간/將: 장수 장/莫:장차 장, 없을 막/耶: 어조사 야>

 

[명검도 사람의 손길이 가야

비로소 빛나듯이 사람의 성품도

 원래는 악하므로 노력을 기울여야

선하게 될 수 있다는 의미.] 

오(吳)나라에 간장(干將)이라는 대장간의 명장(明匠)이 있었다. 

어느 해 나라에서는 그에게 두 자루의

명검을 만들 것을 명령했다. 
그는 정선(精選)한 청동을 모아서 주조를 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 청동은 3년이 지나도 녹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아내 막야(莫耶)가 머리카락과 손톱을 잘라

 노에 넣고 어린 소녀 3백명이 풍구를 불어 청동을 녹여

마침내 명검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그래서 한 자루의 칼에는 간장(干將),

또다른 한자루에는 막야(莫耶)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출전] 순자(荀子) 성악편(性惡篇) 

 

1-干

 

방패
방패, 구하다, 마르다, 천간
  (방패 간) , 0
干城(간성) : 방패와 성. 나라를 지키는 군인.
若干(약간) : 얼마 안됨. 얼마쯤.
1. 이순신 장군은 왜적을 물리친 나라의 干城(간성)이었다.
2. 내일까지 일을 마치기에는 시간이 若干(약간) 모자란다.
끝이 두 갈래로  된 창의 모양 또는 손잡이가 달린 방패의 모양을 본뜬 글자. 상형

 

2-將

장수
장수, 장차, 나아가다, 거느리다.
  (마디 촌) , 8
將軍(장군) : 군사를 거느리고 지휘하는 사람. 장수.
將來(장래) : 앞날. 미래.
1. 김유신 將軍(장군)은 김춘추를 도와 삼국을 통일했다.
2. 너는 將來(장래)에 어떤 사람이 되었으면 하니?
널판[片]에 고기[ →肉]를 벌여 놓고 법도[寸]에 따라 제사를 지내는 것을 나타낸 글자인데, 앞은 음 부분, 뒤는 뜻 부분으로, 제사 지내며 많은 씨족을  '거느린다'는 데서 '장수', 또는 '거느리다'의 뜻이 된 글자. 형성

3-莫

아니다, 더할 수 없다.
  (= 풀 초) , 7
莫强(막강) : 더 할 나이 없이 강함.
莫重(막중) : 아주 귀중함.
1. 미국은 莫强(막강)한 군사력을 갖고 있습니다.
2. 회장이 되어 莫重(막중)한 책임을 갖게 되었다.
莫上莫下(막상막하)
(풀)+日(해)+大(풀 : ' '의 변형). 햇빛[ : 햇빛 대]이 서쪽 지평선 풀[ ] 속에 가려져 없어진다 하여 '없다', '저물다'의 뜻이 된 글자. 회의

4-耶

'♧ 문학의 향기 >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조사
어조사, 아버지를 부르는 말, 옛 명검 이름
  (귀 이) , 3
耶蘇敎(야소교) : 예수교, 기독교.
有耶無耶(유야무야) : 있는 듯 없는 듯.
1. 우리 나라에 기독교가 처음 들어왔을 때 耶蘇敎(야소교)라 하였다.
2. 그 사업 계획은 시간이 갈수록 有耶無耶(유야무야)되었다.
耳(귀 이)에 고을 邑(= )을 합친 자로, 마을에서 들려오는 소문이 사실인지 의문스럽다는 데서 의문의 어조사로 쓰임. 형성
[천려일실](千慮一失)  (0) 2010.09.20
[(고사성어)] [난의포식](暖衣飽食)  (0) 2010.09.17
[(고사성어)] [서시빈목](西施嚬目)  (0) 2010.09.09
[(고사성어)] [권토중래](捲土重來)  (0) 2010.09.08
[(고사성어)] [구인득인] (救仁得仁)  (0) 2010.09.01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