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 음]
<格:이를 격, 物:만물 물,
致:이를 치, 知:알 지>
후천적인 지식을 명확히 함
[주자(朱子)의 설].
② 낱낱의 사물에 존재하는 마음을 바로잡고
선천적인 양지(良知)를 갈고 닦음.
[고사 내용]
사서(四書)의 하나인 《대학(大學)》은 유교의
교의(敎義)를 간결하게 체계적으로 서술한 책으로서
그 내용은 삼강령(三綱領 : 明明德, 新民, 止於至善),
팔조목(八條目 : 格物, 致知, 誠意, 正心,
팔조목 중 여섯 조목에 대해서는
그래서 송대(宋代) 이후 유학자들 사이에
그 해석을 둘러싸고 여러 설이 나와 유교 사상의
근본 문제 중의 하나로 논쟁의 표적이 되어 왔다.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송나라 주자(朱子 : 朱熹, 1130∼1200)의
설과 명(明)나라 왕양명
(王陽明 : 王守仁, 1472∼1528)의 설을 들을 수 있다.
① 주자의 설 : 만물(萬物)은 모두 한 그루의 나무와
한 포기의 풀에 이르기까지 각각 '이(理)'를 갖추고 있다.
'이'를 하나하나 궁구(窮究 : 속속들이 깊이 연구함)해 나가면
어느 땐가는 활연(豁然 : 환하게 터진 모양)히 만물의 겉과 속,
그리고 세밀함[精]과 거침[粗]을 명확히 알 수가 있다.
② 왕양명의 설 : 격물(格物)의 '물'이란 사(事)이다.
곧 뜻이 있는 곳을 말한다. '사'라고 한
이상에는 거기에 마음이 있고,
마음밖에는 '물'도 없고 '이'도 없다.
그러므로 격물의 '격'이란 '바로잡는다'라고 읽어야 하며
'사'를 바로잡고 마음을 바로잡는 것이 '격물'이다.
악을 떠나 마음을 바로잡음으로써 사람은 마음 속에
선천적으로 갖추어진 양지(良知)를 명확히 할 수가 있다.
이것이 지(知)를 이루는[致] 것이며 '치지'이다.
[주] 양지 :
① 배우지 않을 수 있는 타고난 지능.
② 양명학(陽明學)에서, 마음의 본체.
[준말]
격치(格致).
[출전]
《大學》〈八條目〉
'♧ 문학의 향기 >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와각지쟁)[蝸角之爭] (0) | 2011.01.19 |
---|---|
[(고사성어)] (구밀복검)[口蜜腹劍] (0) | 2011.01.19 |
[(고사성어)] (건곤일척)[乾坤一擲] (0) | 2011.01.15 |
[(고사성어)] (대공무사)[大公無私] (0) | 2011.01.14 |
[(고사성어)] (지록위마)[指鹿爲馬] (0) | 2011.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