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곤일척(乾坤一擲)
[훈 음]
[乾: 하늘 건. 坤: 땅 곤. 一: 한 일. 擲; 던질 척]
[의 미] <하늘과 땅을 걸고 한 번 주사위를 던진다는 뜻> ① 운명과 흥망을 걸고 단판걸이로 승부나 성패를 겨룸. ② 흥하든 망하든 운명을 하늘에 맡기고 결행함의 비유. 즉, 운명과 흥망을 걸고 단판걸이로 승부나 승패를 겨룸. [고사 내용] |
.이 말은, 당나라의 대문장가인 한유가 홍구[鴻溝: 하남성(河南省)내]을
지나다가 그 옛날(B.C. 203),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건곤일척'을 촉구한 장량(張良) 진평(陳平)을 기리며
읊은 회고시<과홍구(過鴻溝)>에 나오는 마지막 구절이다.
[龍疲虎困割川原(용피호곤할천원)]
[億萬蒼生性命存(억만창생성명존)] [誰勸君王回馬首(수권군왕회마수)]
[眞成一擲賭乾坤(진성일척도건곤)]
스스로 초패왕(楚 王)이 된 항우는 팽성[彭城: 서주(徐州)]을
도읍으로 정하고 의제(義帝)를 초나라의 황제로 삼았다.
그리고 유방을 비롯해서 진나라 타도에 기여한 유공자들을
왕후(王侯)로 봉함에 따라 천하는 일단 진정되었다.
그러나 이듬해 의제가 시해되고 논공 행상에 불만을 품어
온 제후들이 각지에서 반기를 들자 천하는 다시 혼란에 빠졌다.
전영(田榮) 진여(陳餘) 팽월(彭越) 등의 반군을 치는 사이에
유방은 관중(關中)을 합병하고, 이듬해 의제 시해에 대한
징벌을 구실로 56만의 대군을 휘몰아 단숨에 팽성을 공략했다.
그러나 급보를 받고 달려온 항우가 반격하자
유방은 아버지와 아내까지 적의 수중에 남겨둔 채로
겨우 목숨만 살아 형양(滎陽:하남성 내)으로 패주했다.
계속하다가 홍구를 경계로 천하를 양분하고 싸움을 멈췄다.
항우는 유방의 아버지와 아내를 돌려보내고 팽성을 향해
철군 길에 올랐다. 이어 유방도 철군하려 하자
참모인 쟝량과 진평이 유방에게 진언했다.
제후들도 따르고 있아오나
초나라는 군사들이 몹시 지쳐 있는데다가 군량마저 바닥이 났사옵니다.
이야말로 하늘이 초나라를 멸하려는 천의(天意)이오니 당장 쳐부숴야 하옵니다.
지금 치지 않으면 '호랑이를 길러 후환을
남기는 꼴[養虎遺患(양호유환)]'이 될 것이옵니다."
이듬해 유방은 한신(韓信) 팽월 등의 군사와 더불어
해하[垓下:안휘성(安徽省) 내]에서 초나라 군사를 포위하고
'사면 초가(四面楚歌)'작전을 폈다. 참패한 항우는
오강(烏江:안휘성 내)으로 패주하여 자결하고, 유방은 천하 통일의 길로 들어섰다.
섬서성(陝西省) 중부를 흐르는 위수(渭水:황하의 큰 지류) 유역의
평야(분지)를 가리킴. 옛부터 정치 군사상의 요지로서
주(周) 진(秦) 한(漢) 당(唐)나라는 이곳을 중심지로 삼았음.
(동의어) 일척건곤(一擲乾坤) (출전) 한유(韓愈)의 시( 過鴻溝) |
'♧ 문학의 향기 >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구밀복검)[口蜜腹劍] (0) | 2011.01.19 |
---|---|
[(고사성어)] (격물치지)[格物致知] (0) | 2011.01.17 |
[(고사성어)] (대공무사)[大公無私] (0) | 2011.01.14 |
[(고사성어)] (지록위마)[指鹿爲馬] (0) | 2011.01.13 |
[(고사성어)] (밀운불우)[密雲不雨] (0) | 2011.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