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문학의 향기/♣ 고사성어

[(고사성어)] (지록위마)[指鹿爲馬]

by kimeunjoo 2010. 12. 29.

 

 

[훈 음]

(:가리킬 지 . 鹿:사슴 록 . :할 위 .: 말 마)

 

[의 미]

 사슴을 가리켜 말[馬]이라고 한다는 뜻>
윗사람 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휘두름의 비유.
위압적으로 남에게 잘못을 밀어붙여 끝까지 속이려 함의 비유.

 

 

 

 

 

 

사슴(鹿)을 가리켜(指)(馬)이라고 함()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력을 마음대로 휘두름.

중국 진(秦)나라의 환관(宦官)인 조고(趙高)는 권력을 잡고서도 반역을 꾀하려고 음모를 꾸몄다. 먼저 중신들 가운데 자기를 반대하는 사람을 가려내기 위하여 왕에게 사슴을 바치면서 이렇게 말했다. "전하 말[馬]을 받치오니 받아 주소서." 이 말을 들은 호해는 "아니 사슴을 보고 말이라니, 중신들이여 그대들도 그렇게 보이오?" 하면서 중신들을 바라보았다. 그런데 중신들 중에는 그렇다고 긍정하는 사람도 있고, 정직하게 부정하는 사람도 있었다. 조고는 부정하는 사람을 기억해 두었다가 나중에 죽여 버렸다.


유의어

 移天易日 (이천역일) : 하늘을 옮기고 해를 바꿈. 간신의 권력농단.

 [출전]

'史記' 秦始皇本紀 

 


 

1-指

 

손가락
손가락, 가리키다, 지시하다.
  (손 수) , 6
指章(지장) : 손도장.
指向(지향) : 뜻하여 향함. 지적하여 그 쪽으로 향하게 함.
1. 도장이 없을 때는 指章(지장)을 찍어도 된다.
2. 우리가 指向(지향)해야 할 것은 더 나은 세상입니다.
指鹿爲馬 (지록위마)
(손 수:뜻에 관련되는 부분)+旨(맛 지:음에 관련되는 부분). 손가락[ ]으로 맛있는[旨] 것을 지적한다는 데서 '가리키다'의 뜻이 된 글자. 형성

2-鹿

 

사슴
사슴
  (사슴 록) , 0
鹿茸(녹용) : 사슴의 새로 돋은 연한 뿔.
馴鹿(순록) : 북극권에 분포하는 사슴과의 짐승. 사슴과 비슷하나 더 크고 억세며 암수 모두 뿔이 있음.
1. 인삼과 鹿茸(녹용)은 좋은 약재입니다.
2. 에스키모들은 馴鹿(순록)과 바다사자를 사냥하였다.
'사슴'의 모양(머리 뿔 네 발)을 본뜬 글자. 상형

 

 

 

 

3-爲

 

 

 

할 위
하다, 되다, 다스리다, 속하다.
  (손톱 조) , 8
無作爲(무작위) : 우연에 맡겨 해 보는 일.
人爲的(인위적) : 사람이 일부러 한 모양.
1. 순위는 無作爲(무작위)로 추첨하여 가려졌다.
2. 자연을 人爲的(인위적)으로 훼손하면 안 된다.
원숭이가 앞 발톱[爪]으로 머리를 긁는 모양에서 원숭이는 앞발을 손같이 쓸 수 있다 하여 '하다'의 뜻이 된 자. 나아가 '하여금'의 뜻도 있음. 상형


4-馬

 

말, 아지랑이
  (말 마) , 0
馬車(마차) : 말이 끄는 수레.
出馬(출마) : 말을 타고 나감. 피선거권자가 입후보함.
1. 짐을 실은 馬車(마차)가 달려왔다.
2. 그분은 국회의원에 出馬(출마)했으나 낙선되었습니다.
馬脚露出(마각노출)
馬耳東風(마이동풍)
'말'의 모양을 본뜬 글자. 상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