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문학의 향기/♣ 고사성어

[(고사성어)] (무릉도원)[武陵桃源]

by kimeunjoo 2010. 11. 4.

 

[훈 ]

(:호반 무, :언덕 릉, :복숭아 도, :근원 원)

 

[의 미]

  세상과 따로 떨어진 별천지.

 이상세계. 이상향. 별천지

 

무릉(武陵)의 복숭아나무 숲()의 근원()
속세가 아닌 아름다운 별천지. 파라다이스.
중국 진(晋)나라 때 무릉(武陵)에 사는 한 어부가 어느 날 배를 타고 고기를 잡으러 갔다. 복숭아꽃잎이 떠내려오는 산 속의 골짜기를 따라 강을 거슬러 올라가니, 복숭아나무 숲이 끝나고 산이 나타났는데, 그 곳에는 작은 동굴이 있었다. 안으로 들어가니 사방이 넓게 트여 있었고, 그 속에는 옛날 진(秦)나라 때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이 외부와 인연을 끊고 행복하게 살고 있었다. 그는 마을 사람들의 융숭한 대접을 받고 며칠 묵은 뒤 돌아오면서 길을 표시해 두었다. 이 사실을 고을 태수(太守)에게 알려 사람들을 보내어 그 굴을 찾게 했으나, 끝내 찾을 수가 없었다.
 
<더 상세한 내용>

晋(진)의 太原(孝武帝) , 무릉(武陵-湖南省)에 한 어부가 있었다. 어느 날 고기를 잡으로 江을 따라 자꾸 올라갔다가 복사꽃의 숲을 만났다. 수백 정보나 되는 넓은 숲인데 잡목은 하나도 없고 복숭아 나무만이 감미로운 향기를 풍기고 있었다.

"아니, 이 근방에 이런 곳이 있었던가? 그런데, 어찌하여 아직껏 세상 사람에게 알려지지 않았던고?"

漁夫는 다소 의아해 하면서 아름다움에 끌려 자꾸 들어갔더니 물줄기가 다하는 곳에 山이 나오고, 山에는 작은 굴이 있었다. 희미한 빛이 있기에 수십보 들어가니 환해지며 평평한 땅에 집들이 늘어섰고 전답과 일하는 사람들이 보였다.

漁夫를 본 그들은 환대하면서 이야기하였다.

"우리 조상은 秦(진)나라의 혼란을 피해 이 절경(絶景)에 들어온 後 한번도 세상에 나가 보지 못했습니다. 지금 세상은 어떠한가요?"

漁夫는 한(), () 등에 관한 이야기를 해주며 45일 푸짐한

[주]도연명:365~427년. 육조시대 동진의 시인 이름은 잠(潛). 젊어서 한때 관직 생활을 했으나 41세때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읊고 고향의 전원에서 숨어 살며 시를 씀. 기교를 부리지 않은 평담(平淡)한 시풍으로 당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평가받음.

[출전]

《陶淵明集》<桃花源記>                         



1-

 

무사(호반)
호반, 군사, 굳세다.
  (그칠 지) , 4
武術(무술) : 무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여러 가지 기술.
文武(문무) : 문관과 무관. 문식(文識)과 무략(武略). 문화적인 방면과 군사적인 방면.
1. 그 청년은 여러 가지 武術(무술)에 능하다고 하더군.
2. 이순신 장군은 文武(문무)를 겸비한 장수였다.
武陵桃源(무릉도원)
戈(창 과)+止(그칠 지) .'止'는 '步'의 획 생략. 창을 잡고 전진하는 것을 '步武(보무)'라 했고, 여기에서 '무술', '무사'의 뜻이 나왔음. 한편, 창을 잡고 난리를 그치게 하는 것이 '武'라는 데서 '전쟁의 기술', '굳세다'는 뜻이 나왔음. 회의

2-

언덕
언덕
  (= 언덕 부) , 8
陵碑(능비) : 왕릉에 세워 놓은 비.
丘陵(구릉) : 언덕.
1. 왕릉 앞에 세워진 陵碑(능비)의 내용을 자세히 읽었습니다.
2. 평야와 丘陵(구릉) 지대가 잘 발달되어 있는 곳은 살기 좋은 곳으로 유명하다.

(언덕 부: 뜻에 관련되는 부분)+ (높을 릉: 음에 관련되는 부분). 높은 언덕이란 뜻. 형성.

 

 

3-

 

복숭아 도

복숭아나무

  (나무 목) , 6

胡桃(호도) : 호두나무의 열매.
桃花(도화) : 복숭아꽃.

1. 껍질이 단단한 胡桃(호도)는 깨뜨리기 어렵다.
2. 소녀의 얼굴빛은 마치 桃花(도화) 빛처럼 고왔다.

복숭아나무의 가지로 귀신을 쫓을 수 있다는 전설에서, 兆(조짐 조: 음에 관련되는 부분)를 더하여 그 뜻이 되었음. 형성

 

4-源

근원 원
근원, 물이 끊이지 않고 흐르는 모양, 계속하다.
  (물 수) , 10
資源(자원) : 생산의 바탕이 되는 여러 가지 물자. 어떤 목적에 이용할 수 있는 물자나 인재.
起源(기원) : 사물이 생긴 근원.
1. 기술과 인력도 큰 資源(자원)이다.
2. 인간의 起源(기원)에 대해 여러 가지 가설이 있다.
(=水)에 原(근본 원)자를 합한 글자. 언덕[ ] 밑에서 솟아나는 샘[泉]이 물[ ]의 근본[原]이 되어 흐른다 하여, '근원'의 뜻이 되었음. 회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