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탄금(對牛彈琴)
[훈음]
<對:대할 대. 牛:소 우.
彈:풍길 탄. 琴:거문고 금>
[의미]
소에게 거문고 소리를 들려 주는 것과 같이
어리석은 사람에게 도리를 말해도 조금도
이해하지 못하므로 헛수고라는 뜻임.
[고사 내용]
후한(後漢) 말기에 모융(牟融)이라는 학자가 있었다.
그는 불교학에 밝았는데,
유학자에게 불교를 설명할 때는 불전(佛典)이 아니라
유학의 《시경》《서경》등의 경서를 인용했다.
유학자가 이를 책하자 모융이 말했다.
"너희는 불전을 읽은 일이 없을 것이다.
그래서 나는 너희가 잘 알고 있는 경서를 인용하는 것이다.
" 그리고는 공명의(公明儀)의 고사를 인용했다.
"노(魯)나라의 공명의라고 하는
어진 사람이 하루는
소를 향해 거문고를 켜주었다.
그런데 소는 거들떠보지도 않고
계속 풀을 먹고 있었다.
소가 못 들은 것은 아니다.
청각(淸角)이라는 고상한 곡조는
소 귀에는 맞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번에는 모기와 등애의
울음소리와 젖을 먹고 있는 송아지의
울음소리를 흉내냈다.
그러자 소는 꼬리를 흔들면서
발굽 소리를 내며 걸어다니고, 귀
를 세우고 그 소리를 다소곳이 들었다.
이는 소의 마음에 맞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내가 너희에게 《시경》을 인용하여
불교를 설명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 말을 들은 유학자들은
머리를 끄덕이며 모융의 말에 귀를 기울였다.
[출전]
【유의어】
牛耳讀經 (우이독경): 소귀에 경 읽기.
【字意】
⊙ 對(대) 입으로 응대하되 법도[寸]에 맞게 한다는
의미에서 '대답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서로 대답한다는 의미에서
'상대하다'는 의미 파생.
⊙ 牛(우) 뿔이 있는 소의 얼굴 모양을 본뜬 글자.
⊙ 彈(탄) 활에 메워 쏘는 돌에서
'탄환'의 의미를 생성하고 후에 '튀기다',
'연주하다'의 의미를 파생함.
⊙ 琴(금) '王' 두 개는 현악기 줄의
모양을 표현한 것임.
'今(금)'은 발음.
'♧ 문학의 향기 >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한단지몽)[邯鄲之夢] (0) | 2011.01.24 |
---|---|
[(고사성어)] (한단지보 )[邯鄲之步] (0) | 2011.01.22 |
[(고사성어)] (부중지어)[釜中之魚] (0) | 2011.01.20 |
[(고사성어)] (와각지쟁)[蝸角之爭] (0) | 2011.01.19 |
[(고사성어)] (구밀복검)[口蜜腹劍] (0) | 2011.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