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문학의 향기/♣ 고사성어

[(고사성어)] [각주구검](刻舟求劍)

by kimeunjoo 2010. 6. 25.

 

(舟)에 새겨(刻)(劍)을 구하려고(求)
어리석고 융통성이 없으며 시대 변화를 모르는 사람을 이름. 세상 물정에 어둡거나 완고한 사람의 행동을 비유할 때 쓰는 말.
중국 초(楚)나라의 한 젊은이가 양자강(揚子江)을 건너기 위해 배를 탔다. 배가 강 한복판에 이르렀을 때, 손에 들고 있던 칼을 그만 강물에 떨어뜨리고 말았다. 젊은이는 당황하여 강물을 여기저기 살펴보았지만, 칼을 찾아낼 수가 없었다. 그는 재빨리 허리춤에서 단검을 빼 들고 칼을 떨어뜨린 그 뱃전에다 단단히 표시를 하는 것이었다. 이윽고 배가 나루터에 닿자, 그는 곧 옷을 벗어 던지고 표시를 한 뱃전 밑의 강물 속으로 뛰어들었다. 그러나 칼이 그 밑에 있을 리가 없었다.
 
 
<더 상세한 내용>
 
(1)

각주구검(刻舟求劍) ◑ 

刻 새길 각. 舟 배 주. 求 구할 구. 劍 칼 검. 

( 시세의 변천도 모르고 낡은 생각만 고집하며 이를 고치지 않는 어리석고 미련함을 비유하는 말. 배에 금을 긋고 칼을 찾음)

가는 배에서 칼을 떨어뜨리고 떨어진 자리에 표시를 하였다가 배가 정박한 뒤에 칼을 찾는다는 뜻으로 사람이 미련해서 융통성이 없음을 비유.


전국시대(戰國時代), 초(楚)나라의 한 젊은이가 양자강(揚子江)을 건너기 위해 배를 탔다.

배가 강 한복판에 이르렀을 때 그만 실수하여 손에 들고 있던 칼을 강물에 떨어뜨리고 말았다.

"아뿔사! 이를 어쩐다."

젊은이는 허둥지둥 허리춤에서 단검을 빼들고 칼을 떨어뜨린 그 뱃전에다 표시를 하였다.

이윽고 배가 건너편 나루터에 닿자 그는 곧 옷을 벗어 던지고 표시를 한 그 뱃전 밑의 강물 속으로 뛰어들었다.

그러나 칼이 그 밑에 있을 리가 없었다.

[출전] 呂氏春秋 
 
 
(2)
 
 

[각주구검(刻舟求劍)]

 칼을 강물에 떨어뜨리자 뱃전에 표시를 했다가 나중에 그 칼을 찾으려 한다는 뜻으로, 어리석어 시세에 어둡거나 완고함의 비유.

[刻 새길 각/ 舟 배 주/ 求 구할 구/劍:칼 검]

[준말]각주(刻舟),각선(脚線),각현(刻鉉)
[유사어]수주대토(守株待兎)

전국시대(戰國時代). 초(楚)나라의 한 젊은이가 양자강(揚子江)을 건너기 위해 배를 탔다. 배가 강 한복판에 이르렀을 때 그만 실수하여 손에 들고 있던 칼을 강물에 떨어뜨리고 말았다.
'아뿔싸  이를 어쩐다?'
젊은이는 허둥지둥 허리춤에서 단검을 빼 들고 칼을 떨어뜨린 그 뱃전에다 표시를 했다. 이윽고 배가 나루터에 닿자 그는 곧 옷을 벗어 던
지고 표시를 한 뱃전 밑의 강물 속으로 뛰어들었다. 그러나 칼이 그 밑에 있을 리가 없었다.

 

 

(3)

 

[刻 舟 求 劍 (각주구검)]

【한자】새길 각 / 배 주 / 구할 구 / 칼 검

【의미】배에 새겨 칼을 구한다는 뜻으로, 판단력이 둔하고 고지식하여 사리에 어둡고 융통성이 없음을 비유.

【유의어】
1. 守株待兎(수주대토):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리다.
2. 膠柱鼓瑟(교주고슬):기러기발 풀칠하고 거문고를 연주함

【고사배경】
세상의 변화에 대처하지 못하고 융통성 없이 자기 고집만 부리거나, 낡은 것을 청산하지 못하는 고지식한 당시의 공맹(孔孟)을 필두로 한 유가(儒家)사상가를 비판하는 법가(法家)사상의 말이다.- 呂氏春秋

【字義】
⊙ 舟(주)- '통나무배'의 모양
⊙ 劍(검) 뾰족하고 날카로운 칼의 의미.

 

1-刻

 

 

새길 각
새기다, 모질다, 심하다.
  (= 칼 도) , 6
刻苦(각고) : 대단히 애를 씀.
時刻(시각) : 시간. 때. 시간의 어떤 시점.
1. 오랜 刻苦(각고) 끝에 마침내 작품이 완성되었다.
2. 열차는 정확한 時刻(시각)에 맞추어 출발하였다.
刻骨難忘(각골난망)
刻舟求劍(각주구검)
亥(돼지 해)와 (=刀 칼 도)를 합한 글자. 옛날에는 물시계에 눈금을 새겨[ ] 시간을 나타낸 데서 '시각'을 뜻하게 되었음. 亥(돼지 해)가 발음 요소였는데 음이 크게 달라짐. 형성

2-舟

 

배 주
배, 나룻배, 띄우다.
  (배 주) , 0
舟橋(주교) : 배를 잇대어 만든 다리.
片舟(편주) : 작은 배.
1. 이 동네에는 舟橋(주교)가 있어 "배다리"라고 불렀다.
2. 한 조각 잎새 같은 片舟(편주)가 떠있구나.
통나무 배, 혹은 쪽배의 모양을 본뜬 글자. 상형

3-求

 

 

 

 

구할 구
구하다, 청하다, 바라다.
  (물 수) , 2
求職(구직) : 직업을 구하다.
追求(추구) : 목적한 바를 이루고자 끈기 있게 쫓아감.
1. 경기가 어려워지면 求職(구직)하기도 어려워진다.
2. 이윤 追求(추구)만 생각하지 말고, 좋은 제품을 만들어보자.
가죽으로 만든 덧옷의 모양을 본 뜬 글자. 가죽옷은 누구나 입고 싶어한다는 데서 '구한다','찾다'의 뜻이 됨. 상형.

 

4-劍

 

 

칼 검
칼, 검
  (= 칼 도) , 13
劍術(검술) : 칼 쓰는 기술.
長劍(장검) : 긴 칼.
1. 옛날의 무사들은 劍術(검술)이 뛰어났다.
2. 장군은 長劍(장검)을 들고 군사들을 격려했다.
여럿이[僉] 모인 자리에 나아갈 경우에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지니는 무기. 곧 칼[ ]을 뜻함. '僉(여러 첨→검 : 음에 관련되는 부분)'자 옆에 '刀'자를 합한 글자. 형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