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巧:교묘할 교/ 言:말씀 언,/令:명령할 하여금 령/ 色:빛 색>
[반의어]
강의목눌(剛毅木訥), 성심성의(誠心誠意).
[참조]:
눌언민행(訥言敏行). [출전]:《論語》〈學而篇〉
발라 맞추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도라는 뜻으로,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해 아첨하는 교묘한 말과 보기 좋게
꾸미는 표정을 이르는 말.
공자[孔子:이름은 구(丘).B.C.551∼479]는 아첨꾼에 대해
《논어(論語)》〈학이편(學而篇)〉에서 이렇게 말했다.
발라 맞추는 말과 아랑거리는 태도에는 '인(仁)'이 적다.
[巧言令色 鮮矣仁(교언영색 선의인)]
말재주가 교묘하고 표정을 보기 좋게 꾸미는 사람 중에
어진 사람은 거의 없다는 뜻이다. 이 말을 뒤집어서
또 공자는 〈자로편(子路篇)〉에서 이렇게 말했다.
강직 의연하고 질박 어눌한 사람은 '인'에 가깝다.
[剛毅木訥 近仁(강의목눌 근인)]
의지가 굳고 용기가 있으며 꾸밈이 없고 말수가 적은 사람은
'인(덕을 갖춘 군자)'에 가깝다는 뜻. 그러나 이러한 사람이라도
'인(덕을 갖춘 군자)' 그 자체는 아니라고 공자는
〈옹야편(擁也篇)〉에서 이렇게 말했다.
문질 빈빈한 연후에야 군자라 할 수 있다.
[文質彬彬 然後君子(문질빈빈 연후군자)]
문(文:형식)과 질(質:실질)이 잘 어울려
조화를 이루어야 군사라는 뜻이다.
<더 상세한 내용>
(1)
[巧 言 令 色 (교언영색)]
【한자】< 공교할 교 / 말씀 언 / 좋을 영 / 빛 색>
【의미】
교묘한 말과 아첨하는 얼굴 색이란 뜻으로,
남을 현혹시키는 말재주나 진실이 없이 아첨하는 낯 빛.
【원문】
子曰 巧言令色 鮮矣仁(자왈교언영색선의인):
공자가 말하기를 교언영색은 인[仁]이 드물다[鮮]. <論語>
【字義】
⊙ 巧(교) 장인이 솜씨 있게 꾸민다는 의미에서 '겉만 교묘하게 꾸민다'는 의미로 확대.
⊙ 言(언) 입에서 혀가 움직이는 모양으로, 말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
⊙ 令(령) 사람들을 굴복시킨다는 의미에서 '명령'의 의미 파생. 후에 우두머리, 좋다 등의 의미 파생. 여기서는 '아첨하다[阿(아)]'는 의미
⊙ 色(색) 남녀 사이의 마음을 얼굴에 붉은 색 기운으로 표현되어 '색'의 의미 생성. 후에 '색깔'의 의미 파생.
1-巧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言
|
![]() |
| |||||||||||||||||||||||||||||||||||||
3-令
4-色
|
'♧ 문학의 향기 >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토사구팽](兎死狗烹) (0) | 2010.07.30 |
---|---|
[(고사성어)] [포토악발](哺吐握髮) (0) | 2010.07.29 |
[(고사성어)] [간담상조](肝膽相照) (0) | 2010.07.24 |
[(고사성어)] [토포악발](吐哺握髮) (0) | 2010.07.18 |
[(고사성어)] [경국지색](傾國之色) (0) | 2010.07.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