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우리나라 방방곳곳 들과산 집마당 한쪽
마을어귀등 어디든지 분홍꽃을 화사하게 피우고 있는
자귀나무를 볼수있다
자귀나무에 대한 두 가지 전설
1.옛날 중국에‘우고’라는 사람이 조씨 부인과 살았다.
그 부인은 단오가 되면 자귀나무의 꽃을 따서 말린 후
꽃잎을 베개 속에 넣어 두었다가
남편이 우울해하거나 불쾌해하는 기색이 보이면
말린 꽃잎을 조금씩 꺼내 술에 넣어 마시게 했다.
그 술을 마신 남편은 곧 전과 같이 명랑해 졌다고 한다.
2.옛날 어느 마을에 부지런하고,
황소같이 힘 센‘장고'라는 청년이 살고 있었는데,
주위에서 중매를 많이 하였으나
마음에 드는 여자가 없어 결혼을 못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장고는 언덕을 넘다가
아름다운 꽃들이 만발한 집을 발견하고,
자신도 모르게 그 집 뜰 안으로 들어서고 말았다.
꽃구경에 정신이 팔려 있을 무렵 부엌문이 살며시 열리며
어여쁜 처녀가 모습을 나타났다.
두 사람은 서로 첫눈에 반했고,
장고는 꽃 한 송이를 꺾어서 처녀에게 주며 청혼을 했다.
그 후 결혼을 했고, 몇 년간은 알콩달콩 잘 살았다.
세월이 흐른 어느 날 읍내로 장을 보러 갔던 장고가
그만 술집 여인네에 빠져 집을 돌아오지 않았다.
장고의 아내는 남편의 마음을 다시 돌리기 위해
백일기도를 시작했다.
백일 째 되던 날 밤 산신령이 꿈에 나타나서,
언덕 위에 피어있는 꽃을 꺾어다가 방안에 꽂아 두어라.' 하였다.
다음날 아침,
아내는 신령의 말대로 언덕에 올라가 꽃을 꺾어다 방안에 꽂아 두었다.
어느 날 밤, 늦게 돌아온 남편은
그 꽃을 보고 옛 추억에 사로 잡혔다.
그 꽃은 안마당에 심어 자기가 아내를 얻기 위해
꺾어 바쳤던 꽃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기의 행동을 뉘우치고 금슬좋은 부부로 잘 살았다는...
부부 화목을 도모하라
예로부터 자귀나무는 사이 좋은 부부에 비유되곤 했다.
그래서 이 나무를 안마당에 심어 놓으면
부부의 금슬이 좋아진다고 하여 많이 심었다.
자귀나무가 부부의 금슬과 깊은 관계를 가지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잎의 독특함 때문이다.
자귀나무의 잎은 버드나무 잎처럼 가늘며 마주 붙어 있는 겹잎이다.
낮에는 그 잎이 활짝 펴져 있다가 밤이 되면 반으로 접힌다.
사람들은 그 모습을 보고
잎이 서로 사이좋게 붙어 잔다고 생각한 것이다.
합환목(合歡木), 야합수(夜合樹),
유정수(有情樹), 합혼수(合婚樹)로도 불리는
자귀나무를 소가 잘 먹는다고 소 쌀 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지방마다 명칭이 달라 어떤곳에서는 짜구나무라 하기도 한다.
-길상사 문수회홈피에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