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가수. 1950년대 스탠더드 팝과 컨트리 팝 음악의 대중화에 기여했다. 대표곡으로 <테네시 왈츠(Tennessee Waltz)>(1950), <(하우 머치 이즈) 댓 도기 인 더 윈도우?((How Much Is) That Doggie In The Window?)>(1952), <체인징 파트너스(Changing Partners)>(1953) 등이 있다.
1927년 미국 오클라호마주에서 태어났다. 1945년 오클라호마주 털사(Tulsa)에 위치한 라디오 방송국 KTUL의 15분짜리 프로그램에 가수로 초대되어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패티 페이지라는 예명은 출연한 라디오 프로그램의 협찬사였던 페이지 밀크 컴퍼니(Page Milk Company)에서 따왔다.
1946년부터 1947년까지 지미 조이 밴드(Jimmy Joy Band)의 정식 멤버로 참여했고, 1947년 머큐리 레코즈(Mercury Records)와 음반 계약을 체결했다. 1948년 데뷔싱글 <컨페스(Confess)>(1948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12위)를 발표하며 음반활동을 시작했다. <컨페스>는 프로듀서 미치 밀러(Mitch Miller)의 제안으로 팝 음반으로는 최초로 오버덥(Overdub) 방식으로 녹음됐다. 이후 패티 페이지는 1950년대 히트곡 상당수를 자신의 목소리를 덧입혀 녹음했다.
1950년 싱글 <올 마이 러브 (볼레로)(All My Love (Bolero))>(1950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1위)와 <테네시 왈츠>(1950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1위)를 히트시키며 전국적인 인지도를 얻었다. 1965년 <테네시 왈츠>는 테네시주의 주가로 지정되기도 했다.
1951년 패티 페이지는 자신이 좋아하는 민요들을 재해석한 데뷔앨범 《포크

송 페이버리츠(Folk Song Favorites)》를 출시했다. 1952년부터 1955년까지 <아이 웬트 투 유어 웨딩(I Went To Your Wedding)>(1952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1위), <와이 돈트 유 빌리브 미(Why Don't You Believe Me)>(1952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4위), <(하우 머치 이즈) 댓 도기 인 더 윈도우?>(1953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1위), <체인징 파트너스>(1953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3위), <크로스 오버 더 브리지(Cross Over The Bridge)>(1954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2위), <스팀 히트(Steam Heat)>(1954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8위) 등의 싱글을 히트시켰다.
1956년 작곡가이자 편곡자인 빅 쉔(Vic Schoen)과 함께 작업하며 <마마 프롬 더 트레인(Mama From The Train)>(1956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11위), <앨러게니 문(Allegheny Moon)>(1956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2위), <올드 케이프 코드(Old Cape Cod)>(1957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3위) 등의 싱글을 히트시켰다. 또한 그해 빅 쉔과 함께 고든 젠킨스 앤드 히스 오케스트라(Gordon Jenkins And His Orchestra)의 1949년 앨범 《맨해튼 타워/캘리포니아(Manhattan Tower/ California)》 전체를 재해석한 작품 《맨해튼 타워(Manhattan Tower)》(1956년 미국 빌보드 앨범차트 18위)를 출시하기도 했다. 이후 1999년까지 패티 페이지는 빅 쉔과 함께 작업을 했다.
1960년 리처드 브룩스(Richard Brooks) 감독이 연출한 영화 《엘머 갠트리(Elmer Gantry)》에 캐스팅되며 영화배우로 데뷔했고, 이후 몇 편의 영화에 더 출연했다. 1960년대 초중반에는 <모스트 피플 겟 매리드(Most People Get Married)>(1962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27위), <허쉬, 허쉬, 스위트 샤를로트(Hush, Hush, Sweet Charlotte)>(1965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8위) 등의 싱글을 히트시켰다.
1970년대에는 스탠더드 팝과 컨트리 팝 음악에서 컨트리 음악으로 음악적 방향을 전환했고, <아이 위시 해드 어 마미 라이크 유(I Wish I Had A Mommy Like You)>(1970년 미국 빌보드 컨트리 싱글차트 22위), <기브 힘 러브(Give Him Love)>(1971년 미국 빌보드 컨트리 싱글차트 24위), <헬로 위아 론리(Hello We're Lonely)>(1973년 미국 빌보드 컨트리 싱글차트 14위) 등의 컨트리 노래를 히트시켰다.
1980년대부터 활동이 뜸하던 패티 페이지는 1998년 뉴욕 카네기 홀 실황을 담은 라이브 앨범 《라이브 앳 카네기 홀: 더 피프티스 애니버서리 콘서트(Live At Carnegie Hall: The 50th Anniversary Concert)》로 1999년에 열린 제41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최우수 트래디셔널 팝 보컬 퍼포먼스(Best Traditional Pop Vocal Performance)’ 부문을 수상했다.
2012년 12월 패티 페이지는 2013년 2월에 열리는 제55회 그래미 어워드의 ‘평생 공로상’ 수상자로 결정됐으나 2013년 1월 1일 캘리포니아주 엔시니타스(Encinitas)의 한 요양원에서 노환으로 사망했다.
패티 페이지는 1950년대 스탠더드 팝과 컨트리 팝 음악의 대중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를 받는다. 대표곡으로 <올 마이 러브 (볼레로)>, <테네시 왈츠>, <아이 웬트 투 유어 웨딩>, <(하우 머치 이즈) 댓 도기 인 더 윈도우?>, <체인징 파트너스> 등이 있다. 1997년 오클라호마 음악 명예의 전당(Oklahoma Music Hall Of Fame)에 헌액되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