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아비바람꽃의 전설
서젯골은 만장대의 서쪽기슭에 자리잡은 약수터로 김해의 역사와 더불어 애환을 같이 하고 있다. 이곳에 흐르는 약수를 금령천(金靈泉)이라 하여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경관이 좋고 물 좋은 곳이니 아름다운 얘기와 전설이 없을 수 없다. 고려 후반기인 충선왕 때였다. 이때 향리들은 후기의 사회적 경제적 변동을 겪으면서 中小지주로 성장했는데 그 자제들이 학문적 교양을 쌓고 과거를 통하여 중앙의 관리로 진출하는 경향이 높았고 이것이 젊은이들의 꿈이기도 했었다. 김해 무점에 사는 청년 김태은도 향리의 외아들로 태어나 자기와 같은 신분의 다른 젊은이들처럼 과거를 준비하고 있었다. 서젯골 金靈泉 부근에 자리잡고 그 물을 마시며 밤낮없이 열심히 공부한다. 그 덕분인지 태은은 과거에 무난히 합격하여 청운의 꿈을 이루는 것이었다. 이젠 결혼할 나이가 되어 부모들은 혼사일를 걱정했으며 여러군데 혼담이 오갔다. 숙고 끝에 논실마을 李 씨 집안의 따님과 결혼하기로 했다. 태은이는 꿈같은 신혼의 나날이 흘렀다. 서로는 깊이 사랑하는 사이가 된다. 하지만 3년이란 세월이 흘러도 부인에게는 태기가 없었다. 몇대 외동으로 내려온 집안에서 예사일이 아닌 것이었다. 부모님과 함께 온가족이 걱정이 되었다. 부인에게 이것이 강박관념이 되어 일어났는지는 몰라도 병이 나버렸다. 여러 의원의 약을 먹였으나 백약이 무효였다. 온 가족 특히 남편의 병구환 지성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사랑하는 안해의 회복을 위해 온갖 정성을 다한 것이다. 부인은 자신의 여생이 얼마남지 않았음을 예감하는 것이었다. "여보! 당신께 미안해요. 내가 죽거든 이 흰 모시저고리를 만지며 마음을 달래세요. 그리고 좋은 새아내를 만나거든 이 옷을 묻어주세요." 남편은 이 말을 듣고 부인이 너무나 애처로와서 복바쳐 오르는 슬픔을 감출 수 없었다. 이 말을 남긴지 이틀 후 드디어 부인은 이승을 하직하고 태은이는 혼자 몸이 되었다. 진심으로 부인을 사랑한 태은이는 밤마다 저고리를 안고 자는 것이었다. 부모님은 재혼을 독촉했었다. 하지만 아랑곳 하지 않았다. 3년이 지난 어느날 우연히 어떤 낭자가 물을 길러가는 모습을 보았을 때 마치 감전이라도 된듯이 그 아름다운 모습에 넋을 잃게 되었다. 홀아비의 마음속에 회오리 바람이 일게 된 것이다. 누가 홀아비 바람을 탓할수 있으랴. 태은이는 낭자를 몹시 그리워하게 되었고 인연이 닿아 낭자와 밀회를 하게 된다. 이젠 전부인이 준 모시저고리를 만지기도 싫고 오히려 거북스럽기도 했다. 하지만 한편 전 부인에게 미안한 마음도 피할 수 없었다. '그 사람이 말한대로 이 모시저고리를 묻어 버리자' 그는 한손에는 호미, 한손에는 저고리를 들고 과거준비 때 오르내렸던 서젯골 금령천 약수터 아랫길 옆에다 모시 저고리를 묻었다. 그리고는 청혼의 절차를 거쳐 재혼을 한 것이다. 이렇게 하여 흰모시 저고리는 태은이의 곁을 떠난 것이다. 그런데 이듬해 봄 그 묻은 자리 위에 흰꽃이 여러 송이 피어난 것이다. 그리고 진한 향기가 났었다. 태은이는 이 꽃을 보면서 만감이 스쳐갔다. 후세 사람들은 이꽃을 "홀아비 바람꽃"이란 이름으로 불렀다. 누가 홀아비의 바람을 막으랴 외로운 홀아비의 빈가슴을 그 누가 채워줄 수 있으리. 이렇듯 노래하듯 홀아비 바람꽃은 해마다 봄이 오면 진한 향기를 뿜으면서 희고 소담스레 피어나고 있다. 꽃대가 하나 밖에 없어 외롭다는 처연한 모습의 홀아비바람꽃 사라져 가는 우리의 야생화 중 하나입니다 |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바람꽃이 20여종이 넘는다고 한다
어리비리한 내가 기억하는 바람꽃만도 10여종인데 듣도보도 못한 바람의 딸들은 또 얼마나될런지...
2월에 너도바람을 시작으로 남도에서 변산바람꽃을 만나고 꿩의바람꽃과 인사 나누고
영천에서 만주바람꽃과 나도바람꽃을 만났다, 다른 욕심은 별로 없는 편이지만
꽃욕심은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로 강한편이라 보고싶은 꽃을 보지 못하면
몇 날 며칠을 꽃멀미에 시달려 현기증을 느낀다, 밥맛도 없고 의욕상실증 환자처럼
매사에 포인트가 없다, 이름도 특이하고 생김도 어여쁜 호라비비림꽃을 어디가면 만나질까
노심초사 하고 있는데 문경주흘산에 생기발랄한 호라비가 떼거지로 몰려사는 곳이 있다는데
무턱대고 찾아 나설수도 없고 그렇다고 집안에서 상상화만
그리기도 안타까우니 이 노릇을 어이한담..
자나깨나 홀아비 생각에 젖은 마음에 무지개가 떳다
꽃친구들이 주흘산으로 홀아비 만나러 가자는 문자가 들어 오네요
이렇게 반가울 수가~~
9시에 일행과 합류하고 빗살고운 봄물에 마치 봄처녀처럼 가슴이 설레입니다
간단해서 아름답다는 표현이 널 두고 하는 말인가보다
이렇게 잘생긴 홀아비를 만났으니 오늘 밤은 여기서 하룻밤 쉬어가도 좋으리...
살며시 뺨에 뽀뽀하고 많이 보고 싶었노라고 귓속말로 비밀스리 속 마음 전하니
과부도 아님서 소박이라도 맞으면 어찌하려구?
이승의 인연이 아니라면 내세에 옥녀꽃대로
그대 곁에 머물고 싶으오..
우와~~ 여긴 白씨가 모여사는 집성촌이네..
조롱조롱 꽃몽울 풀솜대.. 멀떼같은 박새까지
꽃문열면 하늘 별도 내려와 쉬어가겠네
달도 쉬어간다는 월류봉에 비하리..
문경주흘산은 야생화 천국이다, 노랑제비, 풀솜대, 나도바람, 만주바람
박새에 점현호색,알록제비,개별꽃,매화말벌도리,층층나무,쇠물푸레
한 곳에서 이렇게 많은 야생화를 만나기는 쉽지 않다
숨겨진 보물산이 잘 관리되어 내년엔 더 많은 개체들로 불어나길 바램하며
내년에 꼭 다시 찾으마 약속하고 차마 떨어지지 않는 발길을 옮겼네요...
'♧ 꽃의 전설 > ♣ 꽃의 전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소화 전설.. (0) | 2011.08.19 |
---|---|
능소화 전설 - 옮겨 온 글 (0) | 2011.07.07 |
할미꽃 전설 ... (0) | 2011.04.24 |
튤립 꽃말의 슬픈 이야기 (0) | 2011.04.20 |
제비꽃 전설 (0) | 2011.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