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문학의 향기/♣ 고사성어

[(고사성어)] [견위수명](見危授命)

by kimeunjoo 2010. 6. 25.

(見) 위태로울(危)(授) 목숨(命)
나라의 위태로움을 보고 자신을 목숨을 바침. [동] 見危致命(견위치명)
안중근 의사가 이토오 히로부미를 저격한 사건은 일본인들에게 우리 민족의 저력을 보여준 것이었다. 또한 우리 민족에게는 안중근 의사의 見危授命 정신을 본받는 계기를 만들어준 사건이기도 하다.

<상세한 내용>

(1)


 

[견위수명(見危授命)]

 

볼 견(見) 위태할 위(危) 줄 수(授) 목숨 명(命)

논어(論語) 헌문(憲問)편에 나오는 말. 공자(孔子)의 제자 자로(子路)가 성인(成人)에 대해 묻자 공자가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바치는 이가 마땅히 성인이다"고 한 데서 유래했다.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쳐 싸운다는 뜻으로 쓰인다.

13일 남자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74㎏급에서 금메달을 따낸 마누차르 비르켈리아. 조국
그루지야에 대회 첫 금메달을 안긴 비르켈리아는 "이 금메달로 국민들이 전쟁의 슬픔에서 벗어난다면 바랄 게 없다"며 "전 세계에 그루지야의 존재를 증명한 것으로 만족한다"고 말했다.

그루지야가 포화에 휩싸인 것은 전 세계의 시선이 개막식에 쏠린 8일.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에 위치한 소국 그루지야는
남오세티야를 침공했고 이에 러시아는 대규모 병력을 투입해 그루지야를 공격했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이 12일 "침략자(그루지야)를 격퇴했다"고 밝히며 군사작전은 종료됐지만 수백 명의 그루지야인들이 숨지는 등 상흔은 그대로 남았다.
비르켈리아가 금메달을 따낸 2시간여 뒤 유도 90㎏급에 출전한 이라클리 시레키제는 그루지야에 두 번째 금메달을 안겼다. 시레키제는 준결승에서 러시아 선수를 한판으로 꺾은 뒤 말 없이 그루지야 국기를 손가락으로 가리켰다. 이날 그루지야의 비치발리볼 선수들도 러시아를 꺾었다.

그루지야 선수들은 공식 석상에서 "정치와 스포츠는 별개"라고 말한다.
하지만 조국의 위기를 지켜본 그루지야 선수들이 '견위수명'의 정신으로 뛴 결과는 역대 최고의 성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2000
시드니에서 노 골드, 4년 뒤 아테네에선 금메달 2개를 딴 그루지야는 대회 5일째 금메달 2개를 수확했다. 인구 447만의 그루지야는 14일 현재 인구 대비 금메달 수에서 1위를 달리고 있다.
입력 : 2008.08.14 23:14

 

 

(2)

 

 

견위수명 見危授命 ◑

▶ (나라가)위태로움을 당하면 (나라에)목숨을 바침.

 곧 나라의 위태로움을 보고는

목숨을 아끼지 않고 나라를 위하여 싸움.

▶ 見(볼 견) 危(위태할 위) 授( 바칠, 줄 수) 命(목숨 명) 

▶ 자로(子路)가 인간 완성에 대해 묻자 공자가
,


"지혜(智慧, 청렴(淸廉), 무욕(無慾), 용감(勇敢), 예능(藝能)을 두루 갖추고 예약으로 교양을 높여야 한다. 그러나 오늘에는 이익을 보면 정의를 생각하고(見利思義),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바칠 줄 알고(見危授命), 오랜 약속일지라도 전날의 자기 말을 잊지 않고 실천한다면(久要不忘平生之言) 역시 인간 완성이라고 할 수 있다."
고 답한 구절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 글귀는 '정당하게 얻은 부귀가 아니면 취하지 않는다', '의를 보고 행하지 않는 것은 용감함이 아니다'는 뜻을 담고 있다.

[출전]

논어제14편 헌문(憲問)편
 【동의어】

견이치명(見危致)

 

(3)

[見 危 授 命 (견위수명)]

한자】볼 견 / 위태로울 위 / 줄 수 / 목숨 명

【의미】

 위태로움을 보고 목숨을 바친다는 뜻으로,

국가나 군부(君父)의 위급함에 즈음하여

자신의 목숨을 바쳐 대처한다는 의미.

 ◈ 見利思義, 見危授命.《논어》

【동의어】

 見危致命 (견위치명):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바친다[致]

【字義】
⊙ 危(위) 사람이 벼랑 위에 위태롭게

서 있는 모양을 본따 '위태롭다'는 의미 생성.
⊙ 授(수) 손[手]으로 넘겨준다는 의미에서

 '주다'는 의미 생성. 반의어는 '受(수: 받다)'
⊙ 命(명) 제사장이 신전에서 신의 계시를

 받는 모양으로 설명하거나 왕이 명령[令]을

 입[口]으로 한다는 것에서

'목숨'을 좌우할 수 있다는 것으로

'목숨'이나 '명령'의 의미로 분석함..

댓글